종합토론

목록목록
유진로봇(05608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5/05/12 20:07
  • 조회 237
개미신사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유진로봇이 23% 넘게 급등하고 있다. 유진로봇 사외이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캠프에 합류했단 소식이 전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5월12일 오후 2시 45분 유진로봇은 전 거래일 대비 1760원(23.75%) 오른 9170원에 거래되고 있다.유진로봇의 사외이사인 장동의 대한인공지능학회 기획이사는 지난 10일 이재명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총괄특보단 2호 미래기술 특보로 임명됐다.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이기도 한 장 신임 특보는 2021년 3월부터 유진로봇 사외이사를 지냈다.유진로봇은 2005년부터 로봇 청소기를 생산한 한국 1세대 로봇 기업이다. 2023년 로봇청소기 사업을 정리하고, 자율주행 물류로봇 및 스마트 자동화 장비 등 완제품 로봇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국내 1세대 로봇 기업인 유진로봇이 국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와 디스플레이 조립라인의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했고, 유진로봇 주가가 상승세다. 4월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유진로봇은 전 거래일 대비 290원(4.44%) 오른 69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유진로봇이 전날 국내 차부품 제조업체와 디스플레이 조립라인에 대해 89억원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는 최근 매출액(지난해 개별기준) 260억원의 34.53%에 달하는 금액이다. 계약 기간은 다음달 9일까지다. 

공시에 언급된 '국내 자동차부품 제조업체'는 비밀유지요청으로 현재 공개되지 않았다. 유진로봇은 "계약 내용은 자동차 부품 관련 디스플레이 자동화 생산라인"이라며 "계약상대방과 판매공급지역은 유보 기간 경과 시 공시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IR 담당자인 김종현 유진로봇 전무는 "공시가 이날 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주가 부양 계획에 대해선 "실적 올리는 데 노력하는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이날 유진로봇의 주가는 상승했지만 올해 초 주가(7620원) 대비 9.19% 줄었다. 이에 김 전무는 "로봇주는 올해 들어 오히려 주가가 올랐다"며 "글로벌 관세 전쟁 속 상대적으로 적게 하락했다"고 말했다. 유진로봇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 대비 35.12% 증가한 260억3800만원, 영업손실은 전년 대비 20.92% 감소한 42억2367만원이다.



“물류 자동화 분야는 값싼 중국 업체들의 진출도 많아지면서 이미 ‘레드오션’화 되고 있습니다. 유진로봇(056080)은 독자적 ‘로보타이제이션 솔루션(Robotization Solution)’과 인공지능(AI) 기술에 집중해 자율주행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 ‘블루오션’을 개척할 것입니다.” 

박성익 유진로봇 전무는 지난 3월1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AW2025)’ 현장에서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자사 핵심 강점으로 자율주행을 위한 자체 로보틱스 기술력을 꼽으며 이같이 강조했다. 

유진로봇은 1993년 완구업체 지나월드로 설립해 2005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했다. 2006년 유진로보틱스와 합병해 로보틱스 기술 연구·개발(R&D)과 청소로봇, 물류로봇 등 완제품 로봇을 제조·판매하며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2019년 이후 다양한 물류시장을 목표로 기업용(B2B) 중심 자율주행 솔루션 사업으로 전환했다. 2023년 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자본금 188억원, 매출액 304억원, 영업손실 47억원을 기록했다. 

유진로봇의 대표 상품은자율주행로봇(AMR) ‘고카트(GoCart)’ 시리즈다. 고카트 180·250·500·1000에 이어 이번 AW 2025에서 고중량 고카트 1500을 일반에 처음 선보였다. 고카트 브랜드 뒤에 붙은 숫자는 제품별 ㎏ 기준 가반하중(페이로드)을 뜻한다. 

따라서 고카트 1500은 최대 1.5t을 적재할 수 있어, 고중량 자재나 완제품 이송이 요구되는 생산 및 물류 현장에서 최적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규 라인업 외에도 고객사의 수요와 현장 상황에 맞춰 다양한 무게·높이·형태로 커스터마이징한 고카트를 주문 제작해 공급하고 있다. 

박 전무는 “독자적 기술을 확보하고 직접 개발하기 때문에 표준 제품 적용이 어려운 사업장에는 고객 맞춤형 AMR 제공이 가능하다”며 “국내 6~7곳 고객사의 경우 표준 제품이 아닌 개별 환경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했고, 제조분야 한 대기업의 경우 최대 2t급 고카트 50대를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유진로봇은 옴니 휠을 기반으로 전방향 이동한 ‘고카트 옴니(Omni)’ 200·300도 함께 표준 제품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고카트 300 옴니는 45도로 기울어진 롤러가 장착된 바퀴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자유로운 이동과 정확한 주차가 가능하다. 이날 전시에서 고카트 300 옴니와 인공지능(AI) 이동형 협동로봇 ‘MOMA(Mobile Manipulator)’를 결합한 다양한 동작을 시연했다. 고카트 옴니는 현재 유럽 여러 병원의 중앙소독공급부 멸균처리 이송로봇으로 납품 중이다. 

박 전무는 “고카트는 유럽연합 통합규격인증(CE)도 이미 확보해 독일·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 등 헬스케어 및 병원 도입을 위한 개념검증(PoC)을 마쳤다”면서 “국내에서도 한림대 성심병원과 파트너 사업으로 PoC를 진행 중이고, 세브란스 연세암병원에는 실증사업으로 실제 운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체 개발한 관제시스템(FMS)과 사물인터넷(IoT) 연동으로 로봇이 스스로 자동문을 열고 엘리베이터를 호출 및 탑승해 자유로운 층별 이동을 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박 전무는 고카트의 고성능과 안정성 비결로 수평과 수직 모두 360도 시야 확보가 가능한 3D 라이다 적용을 꼽았다. 제품당 기본적으로 2D 라이다 외에 3D 라이다를 2개씩 부착했다. 그는 “AMR에 3D 라이더를 사용하는 회사는 우리뿐”이라며 “넓고 구조가 비슷한 사업장에서 AMR이 위치를 잃어버리지 않고 보다 똑똑한 경로를 설정해 다닐 수 있다”고 말했다. 

유진로봇은 물류 자동화에 필요한 핵심 기술부터 하드웨어 개발, 시스템 인테그레이션까지 포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도 이기종 통합 관제 플랫폼을 개발, 올 11월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로봇 전시회 ‘2025 로보월드’에서 실제 타사 로봇들과 연동해 시연할 계획이다. 

유진로봇은 독자적 로보타이제이션 솔루션도 강화하고 있다. 기존 무인운반차(AGV)를 자체 개발한 슬램, 내비게이션 기술, 세이프티 컨트롤러를 통해 AMR으로 간편하게 전환하는 종합 패키지다. 박 전무는 “블루오션 개척을 위해 특수목적 맞춤형 로봇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며 “예를 들어 여러 산업 현장에서 생산 설비와 장비 유지·보수를 위한 특수로봇 등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 




작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260.38억으로 전년대비 35.11% 증가. 영업이익은 42.24억 적자로 53.41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31.91억 적자로 51.76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2023년 게별기준 매출액은 192.71억으로 전년대비 56.70% 감소. 영업이익은 53.41억 적자로 44.54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51.76억 적자로 48.77억에서 적자전환. 


로봇 전문 생산업체. 자율주행 물류로봇 및 스마트 자동화 장비 등 완제품 로봇 개발 및 판매를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시장에 출시해 왔으며, 2019년 이후 B2C 중심에서 다양한 물류시장을 목표로 한자율주행 솔루션 사업의 B2B 중심으로 전환.
최근 물류로봇 시장의 핵심요소인 고카트 자율이동로봇 사업에 전력을 다할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의 구성요소인 라이다 센서, SLAM콘트롤러 같은 다양한 제품도 성공적으로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음. 아울러 3D라이다(LiDAR) 센서와 자율주행 솔루션 등 로봇 부품과 솔루션 기술 개발을 통한 자율주행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을 준비중. 23년12월 로봇청소기 국내사업부문(아이클레보 사업부문) 종료.
최대주주는 (유)시만 외(51.36%).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445.02억으로 전년대비 60.97% 증가. 영업이익은 44.54억으로 64.13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48.77억으로 14.35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2008년 10월28일 75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3년 9월8일 170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작년 11월13일 5030우너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이후 올 2월10일 1053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63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924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963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06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17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