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지속형 주사제 및 지질나노입자(LNP) 약물전달기술 플랫폼 기업 인벤티지랩(389470)이 차세대 비만치료제의 핵심 기업으로 자리할 전망이다. 인벤티지랩은 최근 자사의 신규 플랫폼 기술을 통해 '먹는 비만약'의 일주일 지속 효과를 입증했다. 이와 함께 글로벌 빅파마의 허가된 제품 대비 최대 수십배 이상의 약물 흡수율 증가도 증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4월23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인벤티지랩은 자체 플랫폼 기술을 기존에 허가된 경구용 비만치료제에 적용, 기존 치료제의 짧은 약물 유지기간(1일 미만) 대비 7일이라는 안정적인 약동학적(PK) 프로파일을 비글 모델에서 확보했다.
기존 비만 치료제는 자가 주사형이기에 투여 편의성도 떨어지고 투여 자체를 기피하는 환자들도 있으며 가격도 비싼 편이다. 하지만 먹는 형태의 비만 치료제는 복용·보관이 간편하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IB 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라이 릴리의 경구형 비만·당뇨병 치료제 '오포글리프론'이 3상에서 유의미한 체중 감소를 입증하며 이슈로 떠오른 상황"이라며 "'오포글리프론'을 비롯해 글로벌 빅파마들이 연구개발 중이거나 허가를 받은 경구형 비만치료제는 1일 1~2회 복용을 원칙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가운데 인벤티지랩의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경구형 비만치료제는 1주일에 1회만 복용하면 된다"며 "해당 기술력을 통해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독보적 경쟁력을 선점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단순 복용 기간을 넘어, 비만약의 핵심인 약물 흡수율에서도 글로벌 빅파마 대비 우수성을 입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경구 흡수율은 24% 이상으로, 이는 기존 치료제 대비 70배 이상에 달하는 수치다. 참고로 기존 허가된 경구형 비만치료제인 노보노디스크의 '리벨서스'는 1% 이하 수준이다.
비만약의 경우, 혈관으로 약 성분이 흡수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많은 양을 먹어야 하는데,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수율은 핵심 지표로 작용한다. 미국 제약사인 멧세라 역시 높은 흡수율로 주목을 받으며 기업가치가 올라간 바 있다.
인벤티지랩 관계자는 "해당 기술은 GLP-1 펩타이드를 시작으로, 펩타이드와 같은 고분자 성분의경구용 개발을 위한 플랫폼으로 개발 확장해 나가고 있다"며 "혁신적인 자체 기술력을 토대로 경쟁사 대비 독보적인 약물 흡수율 및 유지 기간 개선을 보이는 것이 사실"이라고 답했다.
이와 함께 "해당 플랫폼 기술의 연구 결과는 금년 미국비만학회(ADA)에서 발표할 예정"이라며 "제제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들과 플랫폼 기술 기반 기술수출에 대해 적극 협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인벤티지랩에 대해 향후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김정현 교보증권 연구원은 "선발·후발 주자 모두 후속 파이프라인의 제형 차별화 전략을 고심 중인 가운데, 특히 경구용이나 장기 제형 치료제의 출시 가능성에 시장 참여자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국내 비만치료제 투자를 고려한다면 인벤티지랩에 대한 큰 관심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현재 인벤티지랩은 글로벌 빅파마 중 하나인 베링거인겔하임과의 공동개발이 순항 중에 있으며, 현재 유럽 내 추가적인 플랫폼 기술 수출 및 사업화 기회도 모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펩트론(087010) 등 장기지속형 주사제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코스닥 시가총액 1위인 알테오젠(196170)까지 장기지속형 비만 치료제를 개발한다는 소식에 글로벌 시장이 커질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4월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펩트론 주가는 11일 16만 4700원으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7일 종가 10만 7400원이었던 펩트론 주가는 4거래일 연속 상승해 11일 52주 최고가를 경신했다. 코스닥 시총 순위 10위에도 올랐다. 인벤티지랩(389470) 주가도 1만 7170원으로 전일 대비 19.90% 상승한 채 거래를 마감했다.
장기지속형 비만 치료제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펩트론은 마이크로스피어(미립구) 기술을 바탕으로 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스마트데포’를 보유했다. 작은 구 안에 약물을 탑재해 몸 속에서 서서히 방출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펩트론은 지난해 10월 일라이릴리와 플랫폼 기술 평가 계약을 맺고 일라이릴리가 보유한 펩타이드 약물에 스마트데포를 적용하는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인벤티지랩 또한 마이크로스피어 기반의 장기지속형 주사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인벤티지랩은 유한양행과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으로 월 1회 투여하는 장기지속형 비만 치료제 ‘IVL3021’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신약 후보물질을 기반으로 장기지속형 주사제 후보 제형도 개발 중이다.
이처럼 빅파마들이 장기지속형 비만 치료제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면서 시장도 급성장이 예상된다. 마이크로스피어 기반 약효지속성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22년 7조 9000억 원에서 연평균 12.7%씩 성장해 2028년에는 16조 2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코스닥 시총 1위 기업인 알테오젠이 장기지속형 비만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알테오젠이 보유한 장기지속형 플랫폼 ‘넥스피(NexP)’는 마이크로스피어 기술을 기반으로 하지는 않는다. 약물에 단백질을 붙여 신장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인벤티지랩은 백신개발 및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 기업인 큐라티스의 경영권을 인수한다고 2월3일 밝혔다. 인벤티지랩은 큐라티스의 전환사채 인수 및 보통주 유상증자 참여 방식으로 3월까지 25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물량을 포함할 경우 큐라티스 지분의 약 40%를 보유하게 돼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하게 된다. 인벤티지랩은 큐라티스의 경영권 인수를 통해 큐라티스 오송바이오플랜트 내 장기지속형 주사제 전용 제조설비를 구축하게 됐다. 인벤티지랩은 앞서 자체 GMP 확보를 위해 최근 538억원의 대규모 펀딩을 추진한 바 있다. 큐라티스의 오송바이오플랜트는 cGMP, EU-GMP 등 글로벌 수준의 GMP 제조시설을 갖줬다. 큐라티스는 이번 인벤티지랩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증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GLP-1 비만 치료용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포함한 인벤티지랩의 개발 품목들에 대해 임상샘플 제조 및 이후의 상업용 제조를 담당하는 주력 GMP 제조소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큐라티스는 기존 백신 개발을 위한 메신저 리보핵산(mRNA) 제조 설비에 인벤티지랩의 LNP 제조플랫폼이 추가적으로 이식되면 차세대 mRNA 치료제 CDMO로서의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는 "양사간 만들어낼 시너지는 글로벌 시장에서 인벤티지랩 플랫폼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17.83억으로 전년대비 170.97% 증가. 영업이익은 189.64억 적자로 159.61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169.97억 적자로 269.94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인벤티지랩이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 입자·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를 확보했다고 지난 12월17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회사 고유의 플랫폼 기술인 'IVL-드럭플루이딕'을 통한 차별화된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 입자 제형 제조 원천 특허이다. 특히 IVL-드럭플루이딕으로만 구현할 수 있는 독자적인 특허 권리로 기술적 진입장벽을 확보해, 보다 자유롭게 관련 제품 제조 경쟁력을 장기적으로 가져갈 수 있게 됐다.
IVL-드럭플루이딕은 인벤티지랩의 고품질의 고분자 마이크로 입자를 활용해 장기지속형 주사제형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기존 약물(API)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장기지속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제형화 제조 플랫폼으로 국내·해외 75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현재까지 27건의 특허가 등록되는 등 관련 기술력을 입증해왔으며, 이번에도 세마글루타이드와 관련된 특허 확보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의 특징을 적용해 높은 기술적 진입 장벽을 구축하게 됐다.
최근 비만 치료제에 대한 시장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면서 대표적 약물인 노보 노디스크제약의 세마글루타이드를 겨냥한 국내외 기업들의 개발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세마글루타이드는 식욕을 억제하는 체내 호르몬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에 작용하는 약물로 지난 10월 국내에도 출시된 체중 감량제인 '위고비'로 널리 알려져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서 향후 비만 치료제 관련 시장 규모가 2030년까지 1000억달러(약 1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면서 세마글루타이드와 같은 GLP-1 작용 약물에 대한 시장 가치 역시 증가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제약은 세마글루타이드 복제약의 시장 진입을 차단하기 위해 다수의 특허권을 이미 취득했으며, 이에 다수의 기업이 제형 변경 등을 통한 특허 회피 전략으로 비만 치료제 시장에 도전하고 있다.
인벤티지랩은 우수한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 1월 유한양행과 계약을 체결해 GLP-1 성분의 비만 치료제 장기 지속형 주사제의 공동연구·사업화를 진행 중이며 글로벌 파트너와의 협력도 지속해서 논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독일계 글로벌 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의 펩타이드 신약에 대한 장기 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특허 등록을 통해 향후에도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들과도 더욱 적극적인 연구·개발 협력을 이어간다.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는 "이번 특허 등록으로 비만 치료제 장기 지속형 주사제 개발에 필요한 혁신적인 기술 자산을 확보하게 됐다"며 "이는 글로벌 기술 경쟁이 매우 치열한 분야에서 이룬 기술적 성취로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되는 인벤티지랩만의 플랫폼 기술에 대한 우수성과 독창성을 확인한 만큼, 지속해서 플랫폼을 고도화해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베링거인겔하임 측이 먼저 러브콜을 했다. 비공개 비딩(Bidding)을 통해 인벤티지랩이 베링거 측의 선택을 받았다. 베링거 물질에 우리 장기지속형(Long acting) 플랫폼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게 되는데, 그 결과는 1년 내 나올 것이다.”
작년 9월29일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는 이데일리와 전화 인터뷰에서 베링거인겔하임과 펩타이드 신약에 대한 장기지속형 주사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노보노디스크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 일라이 릴리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 등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비만치료제가 블록버스터로 급성장하면서 효능을 늘려주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장기지속형은 기존 1일 1회, 주 1회 주사제형을 1~6개월에 한 번 주사 가능하도록 효능을 늘려주는 기술이다. 장기지속형 주사제 플랫폼 기업 인벤티지랩 역시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된 바 있다. 실제로 지난 19일 베링거인겔하임과 펩타이드 신약에 인벤티지랩 기술을 적용한 장기지속형 주사제형을 공동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인벤티지랩(389470)은 2021년 대웅제약(탈모치료제), 2022년 종근당(185750)(치매치료제), 2024년 유한양행(000100)(비만·당뇨치료제) 등 국내 대형 제약사와 장기지속형 주사제형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계약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베링거인겔하임이 글로벌 제약사인 만큼 이번 계약은 인벤티지랩의 장기지속형 플랫폼 기술을 어느 정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김 대표는 “베링거인겔하임은 비공개 비딩을 통해 몇 개 기업 중 인벤티지랩을 선택했다. 우리를 선택한 이유는 베링거 측이 제시한 기준들에 부합했기 때문”이라며 “베링거 측은 여러 장기지속형 기술 중 마이크로플루이딕에 높은 평가를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인벤티지랩 장기지속형 플랫폼 ‘마이크로플루이딕’은 마이크로스피어 기술 기반이다. 마이크로스피어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원형 입자(미립구)다.
마이크로플루이딕은 품질 고도화를 통한 약물 방출제어로 주사제를 피하 주사할 경우 투여 부위에서 천천히 분해돼 목표 기간 동안 약물이 방출된다. 약물(API)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약효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마이크로스피어 기반 플랫폼은 펩타이드 의약품의 효능을 가장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로 평가받는다.
그는 “베링거 측이 내세운 선정 기준은 고품질의 마이크로스피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과 연구용부터 상업용 생산까지 품질 재현성, 높은 봉입률(미립구 내 약물 주입)과 수율 등이었다”며 “인벤티지랩의 마이크로플루이딕은 이런 기준들을 모두 충족했다. 이런 부분들이 약 부작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원하는 기간에 안전하게 약물이 일정하게 방출되게 해주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스피어 플랫폼 기업 중 꾸준하게 임상 2상을 진행해 상업화 단계까지 왔다는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인벤티지랩은 현재 장기지속형 치매치료제(IVL3003) 임상 1/2상을 호주에서 진행 중이고, 남성형 탈모치료제(IVL3001)도 호주 임상 1상을 완료하고, 국내 임상 2상을 준비하는 등 국내 기업 중 가장 빠른 행보를 보인다. 마이크로스피어 기반 장기지속형 플랫폼을 보유한 지투지바이오는 장기지속형 비만치료제 임상 1상을 완료했다. 펩트론(087010)은 해당 기술이 적용된 비만·당뇨치료제 후보 주사제형을 도출한 상태다.
이와 함께 인벤티지랩의마이크로스피어 양산이 가능하다는 것도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마이크로스피어 양산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회사는 마이크로스피어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GMP 시설을 구축해 운영 중이다. 김 대표는 “제품 양산 및 생산시설 구축 등을 다른 회사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직접 설계·개발·구축했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글로벌 기업들과의 계약에 대비해 투자를 통한 시설 확장도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인벤티지랩은 최근 39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 조달할 390억원 중 240억원은 운영자금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150억원은 GMP 구축 비용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인벤티지랩은 이번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베링거인겔하임 신약 후보 물질을 기반으로 장기지속형 주사제 후보제형을 개발하고, 비임상시험용 시료 공급을 담당하게 된다. 장기지속형 주사제형 개발 후 양사는 임상개발에 대한 공동 대응, 임상용 샘플 제조 및 상업화를 위한 글로벌 공급계약 형태로 계약이 진행된다. 관건은 베링거인겔하임의 신약후보 물질에 인벤티지랩의 장기지속형 기술을 적용한 결과다. 해당 결과가 만족스럽게 나온다면 기술이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인벤티지랩 측은 “베링거인겔하임과의 이번 계약은 공동개발로 발표했지만, 큰 틀에서는 기술이전 계약으로 협상 중이다. 베링거인겔하임 신약 후보물질에 인벤티지랩 플랫폼 기술을 탑재하는 연구개발의 시작이라고 보면 된다”며 “해당 연구는 1년 정도면 마무리가 돼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다음 단계로 계약이 진행될 것이다. 현재 베링거 이외에도 다 알만한 글로벌 제약사가 아예 마이크로플루이딕 플랫폼을 점 찍고 기술이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플랫폼 업체. 마이크로플루이딕 기술(microfluidics)을 의약품 연구개발에 적용하여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 및 양산 제조에 응용한 IVL-DrugFluidic? 플랫폼 및 유전물질 의약물 전달에 적용한 IVL-GeneFluidic? 플랫폼 보유.
주요 제품으로는 남성형 탈모치료제 1개월 지속형 IVL3001/3개월 지속형 IVL3002, 치매치료제 1개월 지속형 IVL3003, 약물중독 치료제 1개월 지속형 IVL3004, 전립선암 치료제 3개월 지속형 IVL3008, 6개월 지속형 IVL3016,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3개월 제형 IVL3013,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IVL4001,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IVL4002 등이 있음. 대웅제약, 종근당, 위더스제약, 노터스 등과 장기지속형주사제 License Out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내 제약사 및 바이오텍 등과 장기지속형 주사제 및 LNP 개발을 포함한 Joint Development(공동개발 및 사업화) 계약을 체결. 최대주주는 김주희 외(25.11%).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24억으로 전년대비 100.00% 증가. 영업이익은 109.02억 적자로 95.58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105.95억 적자로 92.71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2023년 3월28일 844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9월8일 327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작년 4월15일 9400원에서 저점을 찍은 이후 9월13일 25400원에서 고점을 찍고 120일선 아래로 밀렸으나 12월9일 1111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5월9일 610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리는 중으로, 저점에선 매수 관점이 가능할듯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506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527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58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638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