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인증권은 4월21일 바이오플러스(099430)에 대해 주가 장기 방향성이 긍정적이라며 투자의견 '매수' 및 목표주가 1만원을 유지했다.
상상인증권에 따르면 바이오플러스의 주가는 성장률 둔화로 인해 지난해 4분기 중반까지 6000원~7000원대의 장기 조정에 머물었다. 이후 지난해 4분기의 영업실적 회복 기대감으로 같은해 12월부터 상승하며 현재 8000원 내외로 회복한 상황이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동사의 올해 1분기 영업실적 수준이 긍정적으로 추정된다. 전사 연결 매출액 237억원, 영업이익 86억원으로 평년 분기 실적을 크게 초과할 것"이라며 "필러 수출은 유럽·아세안·중동·독립국가연합(CIS)과 함께 특히 남미 중에서도 브라질 등으로 증가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동사의 매출은 전통적으로 하반기 매출비중이 높기 때문에 하반기 실적 성장 폭이 클 것"이라며 "이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반기에도 주가에 대한 전망이 긍정적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매출 확대를 위해 약 1600억원을 투입, 음성 신규 공장을 올해 완공하고 사용 승인도 받았다"며 "올해 8월~9월쯤에는 의료기기와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인정을 받을 예정이다. 신공장이 완공되면 히알루론산(HA) 필러 생산능력(CAPA)이 기존 540만개에서 4000만개로 늘어나게 된다. 장기적으로 톡신도 여기서 생산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하 연구원은 "동사는 의료기기·화장품 등에서 장기 성장 비전도 있다"며 "필러의 경우 미국시장 진출을 위해 올해 가교 임상을 통해서 내년 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올해 1분기 현재 중국 하이난 공장도 GMP 허가 인증 심사를 받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필러 품목허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와 함께 "하이난 공장 생산과 한국 수출의 투 트랙 전략을 진행 중이며, 하이난 공장에서 필러 생산 전까지는 화장품을 생산할 예정"이라며 "화장품 브랜드 '보닉스(BonyX)'는 중국 하이난 현지 공장에서 의료기기 2등급 제조·판매 허가를 받은 상태다. 하이난 공장에서 생산된 화장품은 향후 중국 전 지역으로 판매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화장품에서는 현재 19개의 원료를 개발하고 매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 자회사 코트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연결로 계상되며 올해 130억원 이상의 매출이 인식될 가능성이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톡신사업도 추진 중이다. 유전자 재조합 방식으로 퓨어(Pure)톡신과 라이트체인 톡신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바이오플러스는 오버행 이슈가 다소 존재하고 있다. 지난해 말 연결기준 현금성 자산은 510억원이며, 실제 차입성 부채는 666억원이다.
차입성 부채 중에는 전환사채 600억원이 있으며, 주식 전환 기간 시작일은 오는 7월31일이다. 현재 전환가격은 6550원이다. 다만 콜옵션 60%가 있어 이를 차감하면 실제 오버행 물량은 240억원이며, 발행 주식 수의 5~6% 내외 수준이다.
이에 대해 "올해 영업실적이 의미 있게 증가한다면, 주가가 상승하면서 전환사채 물량을 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마지막으로 "올해 추정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14.3배 내외"라며 "동사의 향후 매출성장률이 20%대 이상임을 감안하면 주가는 저평가된 수준으로 판단된다"고 조언했다.
이준석 한양증권 연구원은 "2025년 실적은 총매출 1089억원(전년 대비 +65.5%), 영업이익 483억원(전년 대비 +107.2%)으로 추정된다"며 "HA 필러 매출이 720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이고 메디컬 디바이스 81억원, 코스메틱 227억원, 상품 및 용역 부문에서 70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바이오플러스가 중국 하이난 의료관광특구 내 위치한 현지 공장이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인증을 획득했다고 4월11일 밝혔다.
앞서 바이오플러스는 중국 보건당국으로부터 하이난 현지 공장에 대해 의료기기 2등급 GMP 현장 실사를 진행했으며, 지난 3월 최종 인증을 완료했다. 이번 하이난 공장 GMP 인증 획득을 통해 바이오플러스는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중국 전역에 공급할 계획이다. 특히 의료기기 2등급 제조 및 판매 허가를 획득한 자체 화장품 브랜드 보닉스(Bonyx)와 스킨부스터 제품 양산에 속도를 내 중국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또 이 공장에 대해 의료기기 3등급과 코스메틱 생산 시설에 대한 GMP 승인 절차도 진행하고 있어 추가 생산라인 확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황영기 바이오플러스 글로벌사업본부장은 "한한령 해제와 중국시장 개방의 기대감이 커지는 시점에 현지 GMP인증 생산시설을 확보하게 된 점을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바이오플러스의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해 중국 전역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당 공장이 중국시장 진출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바이오플러스는 중국 국가의약품감독관리국(NMPA)의 의료기기 3등급 품목허가를 진행하고 있다. 회사 측은 중국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데 사업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의료기기·바이오 제품 전문 기업 바이오플러스가 필러, 화장품 등 고마진 매출 성장을 바탕으로 올해 실적 예상치를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스터닝밸류리서치는 3월6일 기업분석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플러스는 지난해 초부터 국내외 필러 판매 재정비를 하면서 그해 1분기 실적이 부진했지만, 4분기에 이어 올해도 어닝 서프라이즈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이 회사의 연결 매출은 전년 대비 62.6% 증가한 1080억원으로, 영업이익은 99.1% 증가한 464억원으로 예상했다.
바이오플러스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연결 기준) 290억9000만원, 영업이익 134억5000만원으로 추정치(각각 270억원, 101억원)를 넘는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필러의 중국과 브라질 등 해외 수출 증가, 고기능성 화장품 ‘보닉스’의 중화권 매출 성장 등의 요인이 올해도 계속될 것”이라고 짚었다.
올해 비만·당뇨 치료제 시장 진출도 긍정적으로 봤다. 바이오플러스는 히알루론산 필러, 의료기기, 화장품, 의약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올해 ‘리라글루타이드’ 제네릭(복제약) 제품 출시와 함께 '세마글루티드' 바이오 베터(개량 신약)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향후 비만·당뇨 국내 시장 점유율 10%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바이오플러스(099430)는 충북 음성에 약 1500억원 가량을 투자한 신공장 ‘바이오 컴플렉스(Bio Complex)’가 사용승인을 획득하며 완공됐다고 2월28일 밝혔다.
이에 바이오플러스는 히알루론산(HA) 필러와 비만 및 당뇨 치료제, 보툴리눔 톡신 등 바이오 의약품의 생산 능력 확대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바이오플러스의 음성 신공장 바이오 컴플렉스는 연면적 약 4만9134㎡로 지상 5층 규모이며, 연간 최대 생산능력은 히알루론산 필러 4000만개, 비만·당뇨 치료제 4000만개, 보툴리눔 톡신 3600만개가 생산 가능한 시설이다.
회사 측은 이는 국내 최대 규모이며 특히 바이오 컴플렉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기준의 cGMP공장으로 건설된 만큼 향후 FDA 승인을 통한 미국 시장 진출에 용이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바이오플러스 관계자는 “이번 신공장 완공으로 전공정 자동화라인을 구축했고 원가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했다”며 “주요 원재료인 프리필드 실린지 생산라인을 추가해 수직계열화를 통한 안정적 수급과 품질,가격경쟁력을 강화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미국 시장 진출 준비 외에도 중국 하이난 현지 공장도 GMP 허가 인증을 심사하고 있어 중국 시장에서의 성장성도 기대되는 상황”이라며 “지난해부터 실시해 온 영업 구조 개편과 공장 준공이 마무리 됨에 따라 수익성 제고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64.09억으로 전년대비 2.10% 증가. 영업이익은 236.67억으로 15.55% 감소. 당기순이익은 175.10억으로 36.15% 감소.
바이오플러스가 지난 12월26일 약국 플랫폼 전문기업인 참약사와 화장품 공동개발 및 마케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양사는 ▲신제품 공동 개발 ▲공동 마케팅 등의 분야에서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바이오플러스는 독자적인 기술력을 갖춘 만큼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약국 공급용 화장품 및 점안제 개발을 담당하게 되며, 참약사는 전국의 약국 프랜차이즈 네트워킹을 보유한 만큼 마케팅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바이오플러스는 휴그로펩타이드(HugrPeptide) 기술이 적용된 자사 코스메틱 브랜드 보닉스(Bonyx)를 통해 국내외 화장품 시장침투율을 높이고 있는 만큼 금번 참약사와의 협력으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참약사는 530여처의 가맹약국을 보유하고 있고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PB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어 바이오플러스와 개발하는 화장품 및 점안제 공급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원종 바이오플러스 전략기획조정실장은 "참약사와의 협력을 통해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고품질의 화장품을 개발하고, 참약사의 유통망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병주 참약사 대표는 "바이오플러스의 휴그로펩타이드(HugroPeptide) 기반 바이오 기술을 접목하여 차별화된 화장품을 선보일 예정이며, 양사 간 협업을 통해 약국 채널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현재 개발 중인 균주는 기존 리라글루타이드 효모 균주와 달리 생산 수율 자체가 4~5배 이상 높은 균주를 사용한다. 생산 수율을 개선하고, 합리적인 생산 단가로 인해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해 빠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해 나갈 것이다"
국내 바이오기업 '바이오플러스'가 비만·당뇨치료제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 내년 '리라글루타이드' 제네릭(generic·복제약)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세마글루티드' 바이오 베터(Bio Better·개량 신약) 연구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바이오플러스가 연구개발 중인 '리라글루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계열 치료제로, GLP-1를 모방해 혈당을 낮추고 식욕을 줄여 체중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최승인 바이오플러스 연구소장은 작년 10월14일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리라글루타이드는 제네릭 의약품을 준비 중에 있다. 내년 상반기 가동 예정인 신공장이 건설 중이다. 이 일정에 맞춰 미국 식품의약국(FDA)나 유럽의약품청(EMA) 제네릭 의약품 허가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며 "제품 출시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 중으로 계획하고 있다. 향후 시장 점유율 10% 이상을 목표로 잡고 있다"고 말했다.바이오플러스는 지난 7월 관계사 펩진과 '펩타이드를 활용한 플랫폼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펩진이 개발한 '펩타이드 생산용 융합 파트너(PG-TAG)'와 '고수율 펩타이드 생산기술(HYPER)'을 확보를 통해 비만·당뇨 치료제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리라글루타이드와 세마글루타이드는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개발한 당뇨·비만치료제다. 노보 노디스크의 삭센다(성분명 리라글루타이드)는 비만치료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한 의약품으로, 물질특허는 지난해 만료됐다. 후속제품 '위고비'(성분명 세마글루타이드) 특허는 국내에서 오는 2028년에, 미국에서 2031년에 만료된다.최 연구소장은 "'리라글루타이드'와 바이오베터로 준비하고 있는 '세마글루타이드' 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균주 개발은 끝난 상태로, 현재 제품화하는 과정 중에 있다"며 "세마글루타이드는 향후 국내외 특허 만료 시점에 맞춰 제품화하기 위해 연구개발을 하고 있는 중이다. 전임상 임상 과정을 앞두고 있는 상태로 회사는 제형을 바꿔, 바이오베터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현재 원료의약품(API)에 관한 생산 기술을 고도화 최적화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다른 제형에 관한 연구까지 연내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올해 제형 연구가 완전히 끝나서 신제형이 만들어지면 이를 통해 내년도부터 본격적으로 전임상, 다음 해 임상 연구를 통해 오는 2028년에 마무리 지을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또한, 바이오플러스는 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보툴리눔 톡신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2022년부터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개발을 진행해온 바이오플러스는 지난 2년간 소재·제형 개발을 거쳐 현재 전임상 과정을 거치고 내년 임상 1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 연구소장은 "개발 진행 중인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과 퓨어 톡신 후보 물질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톡신은 미용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 목적의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는데, 톡신 사용에 가장 큰 문제는 내성 발생이다. 최근 멀츠·메디톡스 기업에서는 내성이 감소된 다음 세대 제품을 개발해 출시했다"며 "회사도 경쟁력 있는 제품 출시를 위해 내성이 감소된 재조합 톡신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바이오플러스의 재조합 보툴리늄 톡신은 타 제품들이 가지고 있는 내성에 따른 지속력 약화라는 단점을 보완한다. 단백질 체내 반감기 기술을 접목해 분자량을 획기적으로 낮춰, 반감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속기간을 늘린다는 전략이다. 바이오플러스는 보툴리눔 톡신 시장의 후발주자지만 내성이 현저히 줄인 제품 개발을 통해 성공적인 시장 진입을 기대하고 있다.최 연구소장은 "톡신에서 우리 신경을 마비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분은 라이트 체인이라고 작은 부분이 하나 있다. 일반적인 보툴리눔 톡신의 분자량은 900킬로달톤(kDa)이다. 이 중 실질적으로 신경세포를 마비시키는 기능을 하는 건 50kDa의 아주 작은 라이트 체인(Light chain·경쇄) 하나다. 그 이외에 750kDa 정도가 기능이 없는 단백질들이다"고 설명했다.이어 "이 부분을 정제해 라이트 체인 50kDa 과 신경세포로 전달을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헤비체인(Heavy-Chain·중쇄) 100kDa로 총 150kDa 남겨놓은 것이 최근 시장에 출시된차세대 제품이다. 내성이 완전히 모두 없어진 것은 아니기에, 회사는 이 헤비체인의 사이즈를 더 작게 만들어서 내성을 더 줄이는 연구개발을 계속 하고 있는 중이다"고 전했다.바이오플러스는 늘어나는 수요 대응을 위해 충북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에 건축 연면적 4만6270㎡(약 1만2000평)의 신공장을 짓고 있다. 지상5층 규모의 당 공장에서는 HA필러 및 비만·당뇨 치로제, 보툴리눔 톡신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최 연구소장은 "첫번째는 본부동으로 주로 실험실 등이 위치한다. 두 번째는 복합동으로 화장품 완재 및 의료기기 원부자재 등을 생산한다. 부자재를 생산하는 계열사 공장도 갑이 입주해 원료를 수직 계열화하는 형태로 구성된다"며 "A동에서는 비만 당뇨 치료제와 화장품 원료들을 발효 정제, B동은 보툴리눔 톡신을 별도로 생산할 계획이다"고 설명했다.이어 "현재 4개 동으로 준공은 오는 11월~12월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장비들은 거의 들어온 상태로 기타 수도, 전기 연결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내년 상반기 GMP 인증을 위한 사전 절차를 지금 진행하고 있다"며 "생산 캐파(CAPA)는 다양한 품목으로 인해 금액으로 언급하면, 풀 캐파(최대 생산량) 가동 시 수조 원대 매출이 나올 정도의 제품으로 목표는 약 10조 원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이밖에 ▲ 바이오플러스의 경쟁력 ▲화장품 제품 사업 계획 ▲히알루론산(HA)필러 시장 공략 계획 등에 대해 언급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50.43억으로 전년대비 14.68% 증가. 영업이익은 280.26억으로 10.90% 증가. 32.42% 증가. 당기순이익은 274.22억으로 93.89% 증가.
고분자 생체재료 기반의 응용제품 및 바이오 제품 전문 업체. 생체재료인 히알루론산(HA)을 주요 원재료로 하여 가장 많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HA필러와 유착방지제, 관절조직수복재,방광용조직수복재 등 HA 응용 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판매. 이 외 차세대 보툴리눔 톡신, 차세대 비만/당뇨치료제, 항바이러스 치료제 등 신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의약품 제제를 화장품으로 개발한 바이오 코스메틱 제품을 출시하는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 및 출시중. 최대주주는 정현규 외(29.04%).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67.19억으로 전년대비 51.58% 증가. 영업이익은 252.71억으로 38.65% 증가. 당기순이익은 207.08억으로 94.02% 증가.
작년 6월4일 425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5월9일 842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757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788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867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954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