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빔테크놀로지(460470)는 지난 5일 미국 전임상 전문기관 바이오퀄(BIOQUAL, Inc)과 위탁연구기관(CRO)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고 5월14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미국 내 CRO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전략적 조치로, 앞서 체결된 후크 래버러토리(Hooke Laboratories)와의 계약에 이은 두 번째 미국 현지 계약이다. 이번 계약은 글로벌 바이오 헬스케어 전문 컨설팅사인 링커로스(LINKORUS)의 중개를 통해 성사됐으며, 양사의 기술적 협력과 시장 전략을 조율하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수행했다.
바이오퀄은 미국 워싱턴 D.C. 인근 몽고메리카운티에 위치한 선도적인 전임상 연구기관이다. 미국국립보건원(NIH),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주요 규제기관과의 지속적인 연구 협업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COVID-19),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 종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등 동물모델을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며 미국 바이오 클러스터 내 유수의 기관 및 산업체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수많은 CRO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아이빔테크놀로지는 바이오퀄의 폭넓은 고객층을 기반으로 미국 내 장비 활용도와 CRO 수주 확대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아이빔테크놀로지 생체현미경 IVM-CMS3를 바이오퀄 연구시설에 설치하여 장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육, 유지보수, 기술지원 등을 제공함으로써 현지 실험 환경에 최적화된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바이오퀄의 기존 고객들을 대상으로 생체현미경 기반의 차세대 비임상시험법을 소개하고 마케팅을 강화함으로써 새로운 CRO 수요를 창출하여 매출 확장에 기여할 방침이다.
한편 최근 미국 FDA는 전통적인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줄이고, 인체 기반 모델과 고해상도 영상 기술을 포함한 동물실험 대체 접근법(New Approach Methodologies, 이하 NAMs)의 도입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이빔테크놀로지의 생체현미경 기술은 미국 전임상 연구 환경에서 NAMs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퀄은 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AAALAC) 인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물복지와 윤리적 연구 수행을 위한 3R(Replacement, Reduction, Refinement)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전임상 전문기관이다.
특히 NAMs 도입을 추진하는 FDA의 정책 방향성과 일치하는 연구 철학을 바탕으로, NAMs를 위한 기술도입을 선도적으로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퀄의 연구 방향은 아이빔테크놀로지의 실시간 생체 이미징 기술과 깊은 시너지를 형성하며, 양사의 협력을 통해 FDA 및 NIH 기준에 부합하는 고도화된 전임상 연구 모델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이빔테크놀로지 김필한 대표는 "바이오퀄과의 협력은 NIH와 FDA 중심의 글로벌 신약개발 환경에서 당사의 생체현미경 플랫폼이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미국 현지 전임상 전문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장비 활용성과 데이터 신뢰도를 강화하고,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기술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전했다.
아이빔테크놀로지(460470)는 한국과학기술원과 4억 5000만원 규모의 생체현미경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4월23일 공시했다.
이는 최근 매출액 대비 12.63% 규모다.
아이빔테크놀로지(IVIM Technology, 460470)가 오는 25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암 연구 컨퍼런스 '미국암연구학회(이하 AACR 2025)'에서 혁신적인 신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4월22일 밝혔다. 이번 'AACR 2025'에서 선보이는 신제품은 고속 생체 영상화 데이터를 위한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AI-Image Denoiser'와 중등형 동물을 위한 최첨단 생체현미경 'IVM-FS'이다. 생명과학 및 암 연구의 효율과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제품군으로 평가받고 있다.빠르게 일어나는 생체 현상을 정확히 포착하려면 초고속 이미징 기술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고속으로 촬영된 생체 영상은 프레임당 수집되는 광자 수가 적어 신호대잡음비(SNR)가 현저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며, 기존의 이미지 처리 방식은 이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어려웠다. 연구자들은 이로 인해 오랜 시간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정제하거나 실험을 반복해야 했으며, 이는 연구 속도의 저하와 막대한 자원의 낭비로 이어져 왔다.아이빔테크놀로지의 'AI-Image Denoiser'는 이 같은 연구 현장의 난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독창적인 공간-시간 분석(spatial-temporal analysis) 및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기술을 적용했다. 이 혁신적인 접근법은 기존의 노이즈 없는 데이터(clean reference)가 필요 없으며, AI가 직접 노이즈가 있는 원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해 정확하게 실제 생물학적 신호와 노이즈를 분리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영상 분석 기술이 7시간 이상 소요하던 처리를 단 30분 내에 완료할 수 있어 분석 속도를 최대 93%까지 단축하며, 데이터 복잡도와 관계없이 일관되고 신속한 결과를 제공한다.특히 'AI-Image Denoiser'는 생체 내 세포 신호의 실제 형태와 타이밍을 정확히 보존하면서도 기존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던 신호 왜곡 없이 원래 신호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자사의 생체현미경뿐 아니라 타사의 현미경 시스템으로 촬영한 다양한 이미지 데이터에도 범용적으로 적용 가능해 연구 현장의 유연성과 활용성을 크게 높였다. 함께 출시되는 중등형 동물 생체현미경 'IVM-FS'는 마우스와 같은 기존 소형 실험동물에 한정돼 있었던 생체 현미경의 한계를 넘어 렛, 페럿, 토끼, 기니피그 등 중등형 동물까지 포괄적으로 실험이 가능한 새로운 제품이다. 이 최신 모델은 안정적이고 선명한 고속 이미징(최대 50fps, 512x512픽셀)을 지원하며, XYZ축 및 시간 차원을 포함한 4D 동작 보정(motion compensation) 기능으로 살아있는 동물의 미세 움직임에도 완벽한 이미징을 실현한다.'IVM-FS'는 공초점(confocal)과 이광자(two-photon) 이미징 기술을 실시간으로 통합하고 있어 장기적인 생체 내 연구 수행에 최적화돼 있으며, 동물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및 항상성(homeostasis) 유지를 위한 통합 유지 관리 시스템을 기본 탑재하고 있다. 이로써 살아있는 상태의 동물로부터 세포 수준의 정밀한 생체 데이터를 장시간 획득할 수 있어 연구 결과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AACR에서 발표되는 신제품 'AI-Image Denoiser'와 'IVM-FS'는연구자들에게 혁신적이며 효율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AI-Image Denoiser' 소프트웨어의 경우, 타사 현미경에서도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용성을 갖춰 시장 진입과 매출 증가 효과가 단기간 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이번 글로벌 신제품 출시를 기점으로 국제적인 생명과학 및 암 연구 분야의 리더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아이빔테크놀로지(IVIM Technology, Inc)는 미국과 중국을 넘어 유럽과 아시아의 주요 생명과학 연구 거점으로 첨단 생체영상화 기술 워크샵을 확대해가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3월12일 아이빔테크놀로지에 따르면 지난 1월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UMass Chan Medical School)에서의 성공적인 학술 워크샵에 이어, 최근 벨기에와 대만에서 연이어 워크샵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김필한 아이빔테크놀로지 대표는 "이번 벨기에와 대만에서의 워크샵은 미국과 중국 이외의 글로벌 바이오 거점 지역에서도 우리 기술의 우수성과 실용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며 "특히 제약사와 임상 연구진들의 높은 관심은 우리 기술이 기초 연구를 넘어 신약 개발 및 질병 진단 영역으로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아이빔테크놀로지는 이달 3일부터 7일까지 벨기에 VIB-KU 루벤 암 생물학 센터에서 5일간 생체영상화 워크샵을 진행했다. 이 워크샵에는 벨기에 루벤, 브뤼셀, 겐트 지역의 주요 대학과 연구소에서 약 30여 명의 연구진이 참여해 아이빔테크놀로지의 고해상도 3D 생체영상화 시스템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이탈리아 글로벌 제약사인 Chiesi Farmaceutici S.p.A에서 관계자 4명이 직접 참석해 실시간 생체영상화 데모를 진행했다. 이 제약사는 이미 아이빔테크놀로지의 CRO 서비스를 2회 진행한 바 있으며, 현재 장비 구매를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아이빔테크놀로지는 대만에서도 워크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대만국립대학교, Chang Gung Memorial Hospital, Ming Chi University of Technology, National Defense Medical Center 등 대만의 주요 연구기관에서 약 30여 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약 3주간 집중적인 데모 세션을 진행하며 현지 연구기관들과의 기술 교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특히 장기간에 걸친 워크샵 일정을 통해 대만 연구진들에게 심층적인 기술 교육과 실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현지 연구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이끌어냈다.이번 벨기에와 대만 워크샵에서는 다양한 주요 장기를 대상으로 한 심층적인 생체영상화 세션이 진행됐다. 특히 간, 췌장, 폐, 뇌, 유선, 근육, 비장, 신장, 소장, 대장, 림프절 등 주요 장기 및 조직을 대상으로 한 고해상도 다중채널 영상화 기술이 시연됐다. 참가자들은 장기별 특화된 영상획득 프로토콜을 직접 체험하며, 각 조직의 미세구조와 기능적 특성의 실시간 관찰을 통해 다양한 조직에 대한 맞춤형 이미징 기법을 습득했다. 이러한 다중 장기 대상 영상화 기술은 질병 모델 연구와 신약 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인 정량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두 지역 모두에서 참가 연구진들로부터 높은 평가와 호응을 얻었다.아이빔테크놀로지는 지난 1월 성공적으로 진행된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UMass Chan Medical School) 워크샵에 이어 2차 워크샵도 상반기 내에 개최될 예정이다. 2차 워크샵에서는 더욱 심화된 생체영상화 기술과 응용 사례를 중심으로 미국 내 연구진들과의 교류를 확대할 계획이다.또한 네덜란드 국립암센터(Netherlands Cancer Institute)에서 6개월 동안 진행되는 데모활동을 앞두고 있다. 이 데모활동은 유럽 내 암 연구 분야의 핵심 기관에서 진행되는 만큼, 아이빔테크놀로지의 고급 생체영상화 기술의 활용성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아이빔테크놀로지는 미국 매사추세츠 의과대학과의 첫 학술 워크샵 성공에 이어, 이번 벨기에와 대만에서의 워크샵을 통해 글로벌 생명과학 연구 네트워크를 더욱 확장했다. 특히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서의 성공적인 기술 시연은 아이빔테크놀로지의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작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35.64억으로 전년대비 20.71% 감소. 영업이익은 43.09억 적자로 29.05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40.03억 적자로 50.44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아이빔테크놀로지가 암 수술중 잔존 암 조직 검사를 동시에 진행이 가능한 AI(인공지능)의료기기 개발에 성공했다.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올해 상반기 중에 임상을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1월21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아이빔테크놀로지는 그간 기대를 모았던 암 수술중 잔존 암 조직 검사가 가능한 AI(인공지능)의료기기 개발을 완료했다.아이빔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암 수술중 잔존 암 조직 검사) AI의료기기 개발을 완료했다"며 "올해 상반기 중에 임상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그는 "현재는 암 절제술 이후 절제 부위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조직을 떼어 암 조직이 전멸했는지 병리과에 검사를 보내고 있다"며 "이 절차가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이번 AI의료기기를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특히 "자사의 AI의료기기를 사용하면 수술실에서 절단 후에 현미경을 바로 볼 수 있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며 "원래는 작년 말에 (임상) 신청을 하려고 했으나 내부 사정으로 인해 연기되어 올해 상반기에 임상 신청을 할 예정"이라고 역설했다.아이빔테크놀로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발한 생체 현미경(IntraVital Microscopy: IVM) 원천기술을 토대로 2017년 6월에 설립된 의료기기 기업이다. 작년 8월 코스닥시장에 입성했다. 생체 현미경이란 동물 대상 임상(전임상) 과정 중 실험 개체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관찰 가능한 장비로, 불필요한 실험 개체 폐기를 절감할 뿐만 아니라 한 개체 내에서의 실험 효과를 시간순으로 확인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아이빔테크놀로지가 보유한 이광자 현미경은 레이저의 세기가 강한 초점에서만 이광자 비선형 형광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기존 공초점 현미경 대비 빠른 스캐닝 속도, 실험 개체 상태 유지를 위한 히팅 플레이트, 윈도우 기술, AI를 통항 영상 보정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생체 현미경 주 고객층은 기업보다는 대학교와 연구기관 등이다. CRO 서비스의 경우 바이오텍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앞서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지난 11월 글로벌 생명과학 솔루션 기업인 레비티(Revvity Inc.)의 중국 법인 레비티 바이오메드(구 Perkin Elmer)와 중국 본토 독점 OEM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오는 2025년부터 매출이 본격화할 예정이다.정동희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중장기 사업으로는 생체 현미경의 촬영 기술을 바탕으로 개복 수술 등으로 종양 절개 이후 잔존 종양이 있는지 확인하는 AI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다"며 "조직 채취 후 바로 병리학자 수준의 분석 결과 제공이 가능한 장비는 올해 임상 진입 후 2026년 판매를 목표로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암 수술중 잔존 암 조직 검사 AI의료기기 개발을 당초 계획보다 빠르게 앞당긴 셈이다
2023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44.95억으로 전년대비 235.95% 증가.영업이익은 29.05억 적자로 33.31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50.44억 적자로 97.35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생체현미경 개발 전문 생명공학업체. 사업 영역은 생체현미경 장비 판매, CRO 서비스, AI 기반 의료기기 개발 등 크게 3가지로 분류. 세계 최초로 올인원(All-in-One) 일체형 생체현미경 장비(IVM 시리즈)의 상용화에 성공.
최대주주는 김필한(22.55%), 주요주주는 에이티넘뉴패러다임투자조합(10.05%), 창조경제바이오펀드(8.35%), LB넥스트유니콘펀드(5.64%),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5.01%).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13.38억으로 전년대비 153.70% 증가. 영업이익은 33.31억 적자로 26.78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97.35억 적자로 26.21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작년 8월6일 상장, 당일 201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올 5월9일 306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348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363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4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44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