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토론

목록목록
로킷헬스케어(37690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5/05/15 06:20
  • 조회 75
개미신사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로킷헬스케어 주가가 강세다. 인공지능(AI)과 바이오 기술을 융합한 장기재생플랫폼 기술의 미국 진출 기대감이 커지면서 투심이 몰린 것으로 보인다. 5월14일 오전 9시46분 기준 로킷헬스케어 주가는 전날 대비 9.32% 오른 1만7000원을 기록했다.

로킷헬스케어는 AI 기반의 초개인화 맞춤 장기재생플랫폼 전문기업이다. 패치를 만드는 바이오잉크 제작 키트와 AI를 활용한 환부 모델링 소프트웨어, 세계 최초의 의료용 3D 바이오프린터 등을 개발해 플랫폼화했다. 이 플랫폼은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 의료기기 인증(CE MDR)을 마치고 46개국에서 판매 중이다.

최근에는 미국의 파트너사 타이즈 메디컬이 미국 최대 의료 공급망(GPO) 네트워크인 비지언트와 공식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로킷헬스케어의 AI 초개인화 조직재생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상처 재생 시스템 'APLICOR 3D' 공급 계약이 체결되면서 상용화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다.



5월12일 코스닥상장 첫날 로킷헬스케어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공모가 1만1000원으로 코스닥에 입성한 로킷헬스케어의 주가는 이날 10시 45분 기준 71.73%오른 1만8890원으로 거래되고 있다. 한때 1만970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로킷헬스케어는 2012년에 설립된 인공지능(AI) 기반 초개인화 장기재생플랫폼 전문기업이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재생치료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은 환자의 자가세포와 무해한 물질을 결합하여 맞춤형 피부조직이나 장기를 출력하는 방식이다.

동물실험을 오가노이드 및 세포실험으로 대체하라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권고 이후인 지난 9일 코스닥에 상장해 급등한 오가노이드사이언스와 비슷한 흐름을 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킷헬스케어는 현재 46개국과 글로벌 파트너사와 상용화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북미, 중동, 아시아,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설명이다. 주요 제품은 3D 바이오 프린터와 이를 구동하는 일회용 의료 키트다. 회사측에 따르면 마진율은 약 80%다. 특히 일회용 의료 키트는 매출총이익률이 높아 회사의 수익 구조를 강화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향후 로킷헬스케어는 기존의 당뇨발 중심 치료에서 피부암, 화상, 연골, 신장 등 만성질환 치료 영역으로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매출 238억원과 영업이익 17억원을 목표다. 다만, 증권신고서 제출일 당시엔 실제 현금 유입이 미비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44개국과 계약을 체결한 것은 맞지만 허가 등 문제로 사업화 속도가 더딘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 상장을 앞두고 지난 달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유석환 로킷헬스케어 대표는 “올 하반기부터는 피부암 부분 매출이 나올 것 같다”며 "연골 부문도 9개국에서 상업화를 시작했기 때문에 하반기 매출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상장 후 기존 상환전환우선주와 전환사채 물량이 보통주로 전환되는 점은 회사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장 당일부터 유통 가능한 물량이 36.31%에 달하는 만큼 변동성에 대한 유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31.11억으로 전년대비 5.58% 증가. 영업이익은 55.72억 적자로 73.78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76.90억 적자로 166.27억에서 적자전환.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24.18억으로 전년대비 35.70% 증가. 영업이익은 73.78억 적자로 138.78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166.27억으로 795.37% 증가. 


인공지능(AI) 기반 재생치료 플랫폼 업체. 의료용 환부모델링 AI, 일회용 재생 키트, 초개인화 바이오잉크, 의료용 3D 바이오프린터를 융합한 AI 초정밀 환자 맞춤형 장기재생플랫폼을 개발.주요 제품으로는 의료용 3D 바이오프린터(Dr.INVIVO 4D2D), 일회용 의료기기 키트(Dr.INVIVO AI Regen Kit), 모바일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AiD Regen)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유석환 외(27.20%).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91.51억으로 전년대비 35.75% 증가. 영업이익은 138.78억 적자로 173.02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18.57억으로 563.93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5월12일 상장, 당일 1456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점차 저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306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36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5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65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