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토론

목록목록
현대로템(064350)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5/05/15 08:14
  • 조회 70
개미신사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방산·철도 '쌍끌이' 축포를 터뜨린 현대로템이 올해 1분기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또 갈아치웠다.

현대로템은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202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4% 증가했다고 5월14일 공시했다. 매출도 1조 1761억원으로 같은 기간 57.3% 늘어났다. 순이익은 182.5% 증가한 1571억 원을 기록했다.

현대로템의 1분기 영업이익은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시장 컨센서스 1867억원을 큰폭으로 웃도는 수준이다. 연결 기준 역대 분기 최대 실적도 경신했다.

최근 몇 년간 현대로템은 글로벌 방산 훈풍을 제대로 타고 있다. 현재 지난 2022년 폴란드와 수출계약을 맺은 K2 전차 납품을 순조롭게 이어가면서 수익성을 견인하고 있다.

올해까지 1차 계약분인 180대를 모두 납품할 예정이다. 수출 물량이 순차적으로 매출에 반영되면서 향후 실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여기에 2차 후속 계약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는 최근에는 방산뿐 아니라 철도 사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 들어 레일솔루션 부문에서만 벌써 3조원 넘는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로템은 최근 대만 타이중 블루라인 철도시스템 공급 사업을 4249억원 규모에 수주했다. 2월에는 모로코 철도청과 2조2027억원 규모의 2층 전동차 공급 계약을, 3월에는 5811억원 규모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철도차량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달에도 1442억원 규모 미국 MBTA 이층객차 사업 추가 물량 및 예비품 공급 계약을 잇따라 따냈다.

올 2분기 이후에도 수주 확대가 예상된다. 현재 캐나다 에드먼턴 트램 공급 프로젝트가 유력 후보로 꼽힌다. 호주 고속철도망 구축 사업이 본격화될 경우 새로운 수혜가 기대된다.

시장에는 당분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레일솔루션 부문은 기존 저가 수주 물량으로 인해 이익률 개선이 더뎠지만, 최근 미국·호주 등 선진국 물량 소화가 시작되며 수익성 또한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1761.41억으로 전년동기대비 57.3% 증가. .영업이익은 2028.53억으로 354.0% 증가. 당기순이익은 1571.46억으로 182.5% 증가. 



현대로템이 폴란드에 수출하는 K2 전차 2차 계약 협상이 막바지에 진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5월 말 체결을 목표로 K2PL(K2 전차의 폴란드형 모델) 물량과 가격 협상이 이뤄지고 있다. 정부와 방위산업 업계는 이를 계기로 포탄과 잠수함 등 방산 전반으로 협력을 확대해 폴란드를 유럽 수출의 전진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2차 계약은 당초 지난해 말 체결 예정이었으나 폴란드 내부 사정으로 늦어졌다. 폴란드 방산업체 PGZ와 폴란드 정부 사이에 가격 등 이견이 있었지만, 일정 수준 마무리됐다고 한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협상이 막바지 단계이며 체결 시점을 5월 말로 본다”고 했다. 블라디슬라프 코시니아크-카미시 폴란드 국방부 장관도 8일(현지 시각) 현지 매체에 “국가 재정과 안전을 보장할 버전을 승인할 수 있는데, 이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폴란드는 2차 계약에서 K2 전차를 ‘직접 구입·현지 생산’ 방식으로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폴란드가 자국 내 무기 체계 생산을 원하면서 현대로템이 폴란드에 K2 전차 제작 기술을 이전하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 2차 계약이 체결되면 현지에 K2 전차 생산 라인과 유지·보수·정비(MRO·Maintenance, Repair, Overhaul)가 가능한 공간이 만들어진다. 당장 기술이 이전되더라도 폴란드에는 숙련공이 부족해 수년간 현대로템의 손길이 필요한 상황이다.정부와 방산업계는 폴란드가 한국 방산의 유럽 전진기지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 등 국내 업체의 생산 시설도 있다. 앞서 한국은 폴란드와 2022년 7월 K2 전차와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등이 포함된 수출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후 폴란드 공군기지에 FA-50의 MRO가 이뤄질 수 있는 별도 시설이 지어지고 있고, K9 자주포는 폴란드에 차체 관련 기반 시설이 있다.한국 방산은 K2 2차 계약이 이뤄진 후 지어질 시설까지 더해 유럽 거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방산업계 관계자는 “유럽 다른 국가로 한국산 무기를 수출하면, 폴란드에서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이 생긴다”며 “이는 한국과 폴란드 모두에 이익이 된다”고 말했다. 유럽 내 빠른 부품 공급도 가능해진다. 현대로템은 루마니아, 슬로바키아와 K2 전차수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 방산업계는 포탄으로도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홍보에 나서고 있다. 한화에어로는 다연장 로켓 천무용 유도탄을 폴란드에서 생산하기 위해 최근 폴란드 민영 방산 기업 WB그룹과 합작 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방산업계는 유도탄을 넘어 150㎜, 120㎜ 포탄을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폴란드에서 생산된 탄약을 유럽 전역에 쉽게 보내려는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와 풍산도 한국 정부에 포탄 현지화를 희망한다는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현재 한화에어로와 한화오션은 최대 8조원 규모로 알려진 폴란드 해군의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전에 참여한 상태다. 오르카 프로젝트는 폴란드 해군이 운용할 잠수함 3척을 새로 도입하는 것이다. 한화오션은 PGZ 등 폴란드 방산업체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로템이 전동차 관련 수주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벌써 3조원 규모를 훌쩍 넘는 계약을 체결했고,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는 중이다.

5월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최근 대만 타이중 블루라인 E&M(철도시스템) 공급사업을 수주했다. 계약금액은 4249억원이다. 현대로템은 프랑스의 알스톰·싱가포르의 ST엔지니어링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했고, 차량·통신·자동요금징수시스템 등의 설비를 납품하는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계약을 타이중시 도시철도공정국과 체결할 수 있었다.

지난 2월 모로코 철도청과 2조2027억원 규모의 2층 전동차 공급 계약을 맺은 이후 수주 소식이 계속 전해지는 중이다. 지난 3월에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 B노선 철도차량 공급 사업(5811억원)을, 4월에는 미국 MBTA(매사추세츠교통공사) 이층객차 사업 추가 물량 및 예비품 공급 사업(1442억원)을 따냈었다.

현대로템 레일솔루션 부문에 일감이 수년째 몰리고 있는 것은 납기 준수에 따른 제품 신용도 상승, 중국 전동차 품질 문제 대두 등으로 현대로템 전동차에 대한 글로벌 선호도가 커진 영향이다. 현대로템 레일솔루션 부문 수주잔고는 2022년 말 7조4618억원이었지만, 2023년 11조4096억원으로 증가했고, 지난해 말에는 14조646억원을 기록하기에 이르렀다. 매 분기, 연도마다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다.

수주 행진은 올 2분기 이후에도 이어질 게 유력하다. 현대로템이 연내에 수주 계약을 추가로 체결할 수 있는 사업으로는 캐나다 에드먼턴에 트램 최대 53대를 공급하는 프로젝트가 우선 거론된다. 이 프로젝트의 경우 독일의 지멘스, 스페인의 CAF와 함께 현대로템이 공급사 후보 숏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상태다. 현대로템은 2021년 경쟁사들을 제치고 에드먼턴 트램 납품 계약을 체결했던 트랙레코드도 갖고 있다. 이외에도 호주 고속철도망 구축 프로젝트가 본격화될 경우 현대로템이 본격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익률 개선 역시 기대되고 있다. 현대로템 레일솔루션 부문의 경우 회사 수주 잔고의 70% 이상을 책임지고 있지만 과거 저가수주 물량의 존재 등으로 인해 이익 측면에서는 성과가 저조했던 게 사실이다. 회사의 이익 대부분은 방산 부문(지난해 말 기준 수수잔고 3조8727억원)에서 창출해왔다. 하지만 레일솔루션 부문에서도 최근 수년간 계약했던 미국·호주 등 선진국 향 물량들을 소화하기 시작하며 이익률이 오를 것이란 평가가 나오는 중이다.

이상헌 iM증권 연구원은 "현대로템 레일솔루션 부문의 경우 지난해 4분기에 저가 수주 물량 관련 충당금과 추가 원가 등에 대해 선제적으로 1400억원을 일시에 비용으로 반영했기에 흑자전환이 예상된다"며 "내년에는 저가수주분 보다 수익성있는 수주분의 매출이 커지면서 실적개선이 가속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로템은 타이중시 정부 도시철도공정국(Rapid Transit System Bureau of Taichung City Government)와 4,248.99억원 규모의 공급계약(대만 타이중 블루라인 E&M 공급사업)을 체결했다고 5월7일 공시했다. 이는 최근 매출액 대비 9.7%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계약기간은 2025-05-02부터 2038-10-14까지이다.



한국투자증권이 현대로템에 대해 밸류에이션이 저평가됐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17만 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전 거래일 기준 종가는 11만4900원이다.

4월21일 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연결 매출액은 1조2230억 원, 영업이익은 2086억 원을 기록할 것”이라며 “컨센서스와 비교해 영업이익이 11.3% 상회하는 것”이라고 했다.

장 연구원은 “폴란드 K2 전차 26대를 인도하면서, 납품을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이에 따른 디펜스솔루션 부문 매출액은 7657억 원으로 추정하며, 폴란드 매출의 높은 수익성을 반영한 부문 영업이익률 추정치는 25.5%”라고 했다.

그는 “지난해 레일솔루션 부문에서 충당금 1400억 원을 선제적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향후 해당 부문에서 2~3%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장 연구원은 “내년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15.6배로 유럽 업체 평균인 27.7배 대비 낮다”며 “폴란드를 제외하면 수출 레퍼런스가 없다는 점은 여전히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다만 그는 “폴란드 2차 계약 가시성이 높아졌고, 올해를 기점으로 루마니아와 중동 수출 모멘텀이 확대될 것”이라며 “내년까지의 이익성장률과 수익성은 유럽 업체를 포함한 글로벌 피어 평균을 크게 상회한다”고 했다.

이어 “수익성과 수출 파이프라인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수출 레퍼런스 부재에 의한 디스카운트를 감안해도 현재 밸류에이션 차이는 과하다”고 덧붙였다.

장 연구원은 “향후 폴란드 2차 계약, 루마니아 K2 전차 수출, 중동 K2 전차 수출 계약을 차례대로 달성할 경우 디스카운트 요소를 해소하면서 목표주가의 추가 상승 여력이 발생한다”며 “방위산업 차선호주 의견을 유지한다”고 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4조3765.98억으로 전년대비 22.00% 증가. 영업이익은 4565.66억으로 117.36% 증가. 당기순이익은 4052.59억으로 158.49% 증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조5873.82억으로 전년대비 13.40% 증가. 영업이익은 2100.47억으로 42.42% 증가. 당기순이익은 1567.79억으로 19.41% 감소.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의 글로벌 중공업 업체. 철도차량 완제품을 제작/수출할 수 있는 기업 중 하나로 고속전철, 전동차 등을 생산하는 철도사업 외에도 전차, 전투차량, 무인 무기체계 등을 생산하는 방위산업과 자동차 및 제철설비 등을 공급하는 플랜트사업 등을 영위. 각종 전동차, 고속전철, 경전철, 기관차, 객차 등의 철도차량과 전차(K1A1, K2), 교량전차, 구난전차 등의 지상 군수장비를 비롯하여 제철설비, 프레스, 자동차생산설비, 환경설비 등의 플랜트 제품들을 제작, 공급. 최대주주는 현대자동차(33.77%), 주요주주는 국민연금(8.08%).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조1633.44억으로 전년대비 10.12% 증가. 영업이익은 1474.87억으로 83.86% 증가. 당기순이익은 1945.34억으로 278.38% 증가. 


2020년 3월19일 873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크고 작은 등락과정을 거치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가운데 정배열을 갖춘 모습에서 올 5월9일 1276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3일 10100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볼 수 있겠습니다.


손절점은 1028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07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18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30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