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증권은 5월23일 사피엔반도체에 대해 AI(인공지능)+AR(증강현실) 글래스 시장의 최대 수혜주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 및 목표주가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사피엔반도체는 레도스(LEDoS·LED on Silicon))용 디스플레이 구동 칩(DDIC) 설계 전문 팹리스 기업이다. LEDoS는 실리콘 기판 위에 직접 마이크로 LED를 집적한 초소형 고휘도 디스플레이 기술로, 초경량·저전력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차세대 마이크로디스플레이의 일종이다.
양승수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사피엔반도체는 지난해 한 해 동안 미국, 중국, 유럽의 고객사를 대상으로 총 3건의 LEDoS 관련 초기개발비(NRE) 계약을 공시했으며, 올해는 일본 고객사로의 NRE 추가 계약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실적은 NRE 계약의 매출 반영으로 안정적인 성장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 1분기는 매출액 17억원, 영업손실 16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기존 NRE 계약이 양산 공급 계약으로 전환되고, 글로벌 빅테크를 중심으로 AI+AR 글래스 출시가 본격화돼 실적의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는 평가다.
양 연구원은 "현재 AI+AR 글래스를 개발 중인 빅테크 업체들은 높은 휘도와 저전력 구동을 핵심 디스플레이 사양으로 요구하고 있다"며 "이는 AI+AR 글래스가 장기적으로 스마트폰을 대체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야외 사용이 전제돼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특히 광학계로 채택되고 있는 웨이브가이드(Waveguide) 방식은 구조적으로 빛 효율이 낮아, 높은 휘도를 확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
하다. 또 글래스는 물리적 구조상 배터리 탑재 공간이 제한적이며 무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모든 부품에 저전력이 솔루션이 요구된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단가 측면의 이점과 다수의 양산 레퍼런스를 보유한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기반 제품들이 시장에 먼저 공개되고 있으나, 중장기적으로는 휘도와 소비전력 측면에서 우위를 갖춘 LEDoS 중심의 시장 확대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올 1분기 개별기준 매출액은 16.48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909.76% 증가. 영업이익은 16.03억 적자로 32.56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16.99억 적자로 163.71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사피엔반도체가 강세다. 디스플레이 구동칩 공동개발 및 공급 계약 내용을 정정한 것과 관련해 대규모 양산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앞서 사피엔반도체는 디스플레이구동칩 공동개발 및 공급 계약 규모와 기간을 정정했다. 계약 규모가 48억원에서 95억원으로 늘어났다. 미주 지역의 캘리포니아 빅테크 기업이 계약 상대라는 점에서 전 세계 증강현실(AR) 기기 시장에서 사피엔반도체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3월17일 오전 11시49분 사피엔반도체는 전 거래일 대비 9.1% 오른 2만1450원에 거래되고 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존 계약은 지난해 8월26일 공시한 것으로 계약금액은 약 48억원, 계약기간 종료일은 올해 10월 31일이었다"며 "계약금액이 기존 약 48억원에서 95억원으로 크게 증가했는데 사피엔반도체 2023년 연간 매출액 대비 297%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어 "계약종료일이 내년 5월 27일로 약 7개월간 연장했다"며 "이미 관련 기술개발을 진행하는 가운데 큰 규모의 양산 시점으로 예상되고 있어 긍정적인 소식"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계약기간 종료일은 제품 납품 후 대금 입금 예정일"이며 "시장에서 바라보고 있는 3세대 AR 기기가 글로벌 기업이 본격적으로 출시되는 2027년을 앞둔 가운데 사피엔반도체는 개발 제품의 시제품을 공급하는 것으로 큰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사피엔반도체는 차세대 평면 디스플레이인 마이크로 LED와 미니 LED 디스플레이용 DDIC(Display Driver IC) 전문 업체다.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용 초소형 제품에 들어간다. 박 연구원은 "메타(Mteta)가 발표한 Orion AR 글래스는 LEDoS(실리콘 기반의 Micro-LED) 기술을 채택했다"며 "메타는 이 기술을 통해 내년에 2세대 AR글래스를, 2027년에는 3세대 제품을 내놓을 것으로 시장에서 예상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삼성전자는 개발 중인 첫번째 AR 글래스에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지만 2026년에는 마이크로LED를 탑재한 2세대 또는 3세대 AR기기를 출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며 "전 세계 AR 디바이스 내 LEDoS 점유율이 2024년에는 18%에 불과하지만, 2030년에는 44%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사피엔반도체는 국내는 물론 해외빅테크 기업과 공급망을 형성, 토탈 솔루션을 확보했다"며 "지난해 계약을 통해 2세대 AR 기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LED 구동 CMOS Backplane을 올해 말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빅테크 기업향으로 2026년 말에 3세대 AR기기용 제품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 하반기부터 출시할 2세대 AR 기기를 기점으로 내년에는 3세대 출시 경쟁으로 이어지면서 북미, 유럽, 아시아권의 추가 수주가 많이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피엔반도체 매출이 올해 188억원에서 2026년 428억원, 2027년 1088억원, 2028년 2905억원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박 연구원은 추정했다. 그는 "올해 흑자전환을 시작으로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실적 성장을 예상한다"며 "2세대와 3세대 AR기기가 경쟁적으로 출시되는 내년 하반기부터 시작해 2027년에는 폭발적인 실적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피엔반도체 주가가 들썩이고 있다. 2월13일 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8분 현재 8.40% 올라 1만 84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사피엔반도체가 업계에서 유일하게 마이크로LED 특화 DDI(Display Driver IC)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XR(확장현실) 글라스 시장 선점 기대감이 높아 지면서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삼성전자와 메타의 XR 기기 출시가 임박하면서 사피엔반도체의 기술력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에 특화된 DDI 설계 기술을 보유한 유일한 업체로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LED는 기존 디스플레이보다 높은 휘도와 명암비, 낮은 전력 소비량을 자랑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이러한 마이크로LED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DDI 설계 기술을 통해 업계 선두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삼성전자와 메타를 고객사로 확보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XR 기기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메타 역시 XR 글라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이들 기업에 DDI를 공급하며 XR 글라스 시장 성장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피엔반도체(452430)는 지난해 매출액 8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149% 증가했다고 2월10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33억원, 당기순이익은 -170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했다.
회사는 “신제품 개발 계약 증가로 인해 전년대비 매출액 149% 증가했다”며 “당기순손실액 중 135억원은 스펙합병으로 인한 회계비용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사피엔반도체 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2월7일 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16분 현재 10.15% 올라 1만 49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사피엔반도체가 마이크로 LED 시장 선도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디스플레이보다 높은 화질과 전력 효율을 제공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수적인 DDIC(Display Driver IC) 기술을 보유해 시장 성장의 수혜가 예상된다.
사피엔반도체는 저전력 디지털 구동 방식의 DDIC 기술과 LEDoS(LED on Silicon)용 실리콘 백플레인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150건 이상의 글로벌 기술 특허를 확보해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
사피엔반도체는 글로벌 파운드리 업체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LED를 탑재한 IT 기기를 출시해 신성장 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다.
사피엔반도체는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수적인 DDIC 칩셋과 초소형 디스플레이 엔진용 Micro-LED CMOS Backplane 제품군을 전문적으로 설계 및 제작하고 있다. 초대형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DDIC 칩셋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다.
Micro-LED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DDIC 설계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한 고품질의 디스플레이 구동 반도체 제품을 전 세계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작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79.92억으로 전년대비 149.0% 증가. 영업이익은 33.42억 적자로 69.22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169.79억 적자로 131.12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사피엔반도체의 주가가 강세다. 구글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확장현실(XR) 시장 재참전을 전격 선언했다는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구글은 XR 전용 운영체제(OS)를 개발하고, 삼성전자는 XR 기기를 개발해 양사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업을 분담하는 방식이다.
사피엔반도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삼성벤처투자를 통해 투자한 기업으로 XR 관련 기술을 보유 중이다.
지난 12월13일 13시 33분 기준 사피엔반도체는 전일 대비 8.11% 상승한 12,000원에 거래 중이다.
구글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확장현실(XR) 시장 재참전을 전격 선언했다. 구글은 XR 전용 운영체제(OS)를 개발하고, 삼성전자는 XR 기기를 개발 양사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업을 분담하는 방식이다. 구글과 삼성이라는 두 거물급 회사가 손잡고 뛰어들면서 메타와 애플 등이 선점한 XR 시장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구글은 12일(현지시간) XR OS ‘안드로이드 XR’을 공개했다. XR 헤드셋과 스마트안경에 특화된 OS다. 구글은 새 OS를 기존의 모바일 OS인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개발했다. 기존에 앱마켓 ‘구글 플레이’에 입점해 있던 각종 모바일 및 태블릿 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샤흐람 이자디 구글 XR부문 부사장은 “10여년 전 구글이 ‘모두를 위한 컴퓨팅 환경의 변화’라는 아이디어에서 출시한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을 넘어 태블릿, 시계, TV, 자동차 등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고 있다”며 “이제 구글은 미래를 향한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고 밝혔다.
안드로이드 XR의 핵심 파트너사는 삼성전자다. 지난해 2월 구글이 삼성전자, 퀄컴과 XR 분야 파트너십을 선언한 지 1년10개월 만이다. 구글은 이날 안드로이드 XR이 내년 출시되는 ‘프로젝트 무한(Moohan)’이라는 코드명이 붙은 삼성전자의 첫번째 XR 기기에 탑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삼성전자의 새 XR 스마트안경은 다음달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갤럭시 25 언팩’에서 공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해당 기기에는 구글이 전날 발표한 인공지능(AI) 비서 ‘제미나이 2.0’이 탑재될 전망이다.
해당 소식에 삼성의 협력사이자 투자사인 사피엔반도체가 주목받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삼성디스플레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AR 디스플레이용 CMOS 백플레인 ASIC를개발하고 상용화에 성공했다.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 삼성디스플레이는 2023년 6월 사피엔반도체의 지분 5.52%를 취득하며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마이크로LED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마이크로LED는 각 소자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로, 높은 밝기와 명암비, 빠른 응답속도, 낮은 전력 소모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XR 기기에서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2030년 XR 기기의 53.5%에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3월 보도에 따르면 사피엔반도체는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되면 디스플레이 시장의 점유를 계속 넓혀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미 현재 확보 한 주요 판매처는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자, Aledia Company, META 등으로 알려졌다.
메타가 마이크로LED(발광다이오드)를 탑재한 AR(증강현실) 스마트 안경 '오라이언'(Orion)의 시제품을 공개하면서 사피엔반도체의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메타는 작년 9월2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 본사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커넥트 2024'에서 '오라이언'의 시제품을 공개했다.
마크 저커버그 CEO(최고경영자)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오라이언이 스마트폰 다음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또 오라이언을 사용해 화상 채팅을 하고, 메시지에 답하며, 게임하는 방법을 보여줬다.
오라이언은 실리콘 카바이드 렌즈에 마이크로 LED 프로젝터를 통해 70도 시야각을 제공하고, 마그네슘 합금 프레임에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다. 메타는 구체적인 출시 시가와 가격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기업용 제품이 아닌 일반 소비자용 제품으로 공개할 것이라는 계획만 밝혔다.
이같은 메타의 발표에 마이크로LED가 탑재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구동칩(DDI)을 만드는 사피엔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사피엔반도체는 지난 8월 미국 실리콘밸리의 빅5 빅테크 기업 중 한 곳과 초소형 AR 스마트 안경에 탑재되는 레도스(LEDos) 디스플레이 공동 개발 및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사피엔반도체는 AR 스마트 안경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업체가 아니라 빅테크 기업과 직접 계약을 맺었다. 이는 사피엔반도체와 공동 개발에 대한 빅테크 기업의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부문이다. 회사는 미국 빅테크 기업뿐 아니라 가장 빠르게 AR 스마트 안경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는 중국 기업과도 협업하고 있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는 실리콘 웨이퍼 위에 어떤 디스플레이 소자를 올리느냐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나뉜다. LCD(액정표시장치) 계열의 엘코스(LCoS),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를 활용한 올레도스(OLEDoS), LED의 기반의 레도스이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은 엘코스와 레도스다.
엘코스는 높은 해상도와 우수한 색 재현성을 제공하나 응답속도가 느리고 외부광원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 크기와 무게가 다른 기술에 비해 더 크고 무거운 편이다.
레도스는 매우 빠른 응답속도와 높은 밝기, 긴 수명 그리고 가벼운 장점을 갖춰 가장 진화된 기술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그만큼 높은 공정 난이도와 비싼 가격이 단점이다.
회사 관계자는 "AR스마트 안경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는 야외 시인성과 저전력이 요구된다. 레도스 기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술이 필수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R 스마트 안경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온종일 착용해도 불편하지 않도록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야하고, 저전력의 자체 발광방식이어야 한다. 따라서 엘코스보다는 레도스 방식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지만, 레도스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테크 기업들은 사피엔반도체의 기술이 레도스 방식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피엔반도체는 레도스 구동 원천특허인 MiP(Memory-Inside-Pixel)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MiP는 △소비전력 감소 △화면 불량 △열화 문제 해결 △칩 사이즈 소형화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는 특장점이 있다.
특히 MiP는 픽셀 단위 메모리 저장을 가능하게 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MiP는 레도스의 문제를 해결하는 AI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효율성과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사피엔반도체가 미국 빅테크 기업 체결한 계약기간은 2025년 10월까지다. 회사는 내년 상반기 디스플레이 구동칩 샘플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 시기는 AR 안경의 대중화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는 때다. 메타가 세계 최대 안경 제조업체 에실로룩소티카와 내놓은 '레이벤 메타' 안경은 2025년 연말 쇼핑 시즌에 맞춰 3세대가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 관계자는 "빅테크 기업과 순조롭게 디스플레이 구동칩 상용화를 위한 개발을 하고 있다"라며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의 사용 영역이 차량용 디스플레이(HUD) 등으로 넓어지는 만큼 구동칩 공급 업체 확대도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2023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32.10억으로 전년대비 55.37% 감소. 영업이익은 69.22억 적자로 28.45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131.12억 적자로 70.80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하나머스트7호스팩과의 스팩소멸합병으로 상장된 업체. 시스템반도체 설계기술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팹리스 기업으로, 차세대 평면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Micro-/Mini-LED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데 최적화된 디스플레이 구동 반도체(Display Driver IC) 제품을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하여 전세계 시장에 공급.
특히, Micro-/Mini-LED 패널 타입의 초대형/대형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DDIC 칩셋과 초소형 디스플레이 엔진용 Micro-LED CMOS Backplane 제품군을 전문적으로 설계 및 제작.
최대주주는 이명희 외(34.92%), 주요주주는 SVIC 55호 신기술사업투자조합(5.26%).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71.92억으로 전년423.82% 증가. 대비 영업이익은 28.45억 적자로 12.42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70.80억 적자로 34.41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작년 2월19일 상장, 20일 592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2월9일 927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3월17일 220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1266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206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145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236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6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