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가에 바짝 다가선 비트코인에 국내 주식시장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간 비트코인 상승 흐름에 맞춰 가상자산 관련주들도 들썩였기 때문이다.
5월22일 업계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전날 빗썸에서 오후 3시40분 기준 1억5120만원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 1월 20일 기록한 빗썸 신고가(1억6346만원)와 불과 8% 차이다.
달러 기준으로도 신고가 갱신을 앞두고 있다. 전날 같은 시각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은 10만7955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월 20일 찍은 신고가인 10만9114달러와 격차는 10% 수준이다.
코인 대장주 비트코인이 살아나면서 국내 관련주에도 관심이 쏠린다. 통상 비트코인 신고가 경신과 같은 굵직한 이벤트에 해당 종목들이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서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관련주가 주요 종목으로 분류된다. 업계 1위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지분을 보유 중인 '우리기술투자'와 '한화투자증권', 업계 2위 거래소 빗썸 관련주 '티사이언티픽' 등이 대표적이다.
실제로 앞서 비트코인이 지난 9일 3달 만에 10만달러를 돌파했을 당시 우리기술투자와 한화투자증권, 티사이언티픽 모두 상승 마감했다.
가상자산 발행사 관련주도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엑스플라(XPLA) 발행사 '컴투스홀딩스'와 위믹스(WEMIX) 발행사 '위메이드', 자회사(다날핀테크)를 통해 페이코인(PCI)을 발행한 다날 등이 꼽힌다.
특히 컴투스홀딩스는 업계 3위 거래소 코인원의 2대 주주(지분 약 38% 보유)이기도 하다. 이에 가상자산 시장 소식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대표적 가상자산 관련주로 언급됐다.
올해 하반기 국내 법인의 가상자산 투자 허용을 앞두면서 '한국판 스트래티지'로 주목받는 종목도 수혜주가 될 수 있다. 스트래티지는 전환사채 발행을 통한 비트코인 매입 전략으로 유명해진 미국 나스닥 상장사이자 소프트웨어업체다. 미국 단일 기업 중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이기도 하다.
현재 국내 상장사 중 비트코인 보유량이 가장 많은 곳은 위메이드(223개)다. 코스닥 상장사 비트맥스가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비트맥스는 지난 19일 비트코인 28개를 추가 매입하며 보유량을 총 165개로 늘렸다.
이어 국내 상장사 중에서는 네오위즈홀딩스(94개)와 카카오(39개), 셀트리온(18개) 다날(15개), 넷마블(8.29개) 순으로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비트코인이 신고점에 다가서며 상승세를 보이는 배경은 기관 수요가 살아난 효과다. 실제로 기관 수요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미국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는 최근 5주 동안 총 9조1261억원(66억3000만달러)이 순유입됐다.
가상자산 분석업체 샌티멘트는 21일(현지시간) 이에 대해 "과거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비트코인 현물 ETF를 통한 대규모 자금 유입은 비트코인 가격 상승 시그널로 작용했다"고 밝혔다.
이 흐름대로라면 고점 갱신에 이어 연내 25만달러 돌파가 가능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17일(현지시간) 가상자산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유명 가상자산 투자자 스캇 멜커는 "올해 안에 비트코인이 25만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기관들의 수요 및 관심 증가와 변동성 감소가 비트코인 가격 급등을 견인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코스닥 상장사 비트맥스가 비트코인 28개를 추가 매입했다고 5월19일 밝혔다.
이번 매입으로 비트맥스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총 165개로 늘었으며, 가상자산을 핵심 전략 자산으로 삼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비트맥스는 비트코인 223개를 보유한 국내 상장사 1위 위메이드와의 보유량 격차를 58개로 좁히며, 디지털 자산 중심의 기업 전략을 꾸준히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번 매입은 비트코인 가격이 12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시점에서 이뤄져 주목된다. 최근 글로벌 은행인 스탠다드차타드(SC)는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의 올해 2분기 목표가를 12만 달러, 연말 목표가는 20만 달러로 제시한 바 있다.
비트코인은 단순 투기 자산을 넘어 글로벌 주요 기업들의 전략 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국의 게임스탑, 일본의 메타플래닛 등은 비트코인을 핵심 자산으로 편입한 이후 주가가 급등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는 시장에서 해당 전략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비트코인은 기업 입장에서 자산 분산과 인플레이션 헷지를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비트맥스의 지속적인 비트코인 매입 역시 이러한 글로벌 흐름과 궤를 같이한다. 블랙록과 마이크로스트래티지와 유사한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단기 수익보다는 디지털 자산을 새로운 가치 저장 수단으로 인식하는 중장기 전략을 꾀하고 있다.
비트맥스 관계자는 "단순 보유를 넘어 시세 흐름에 따른 순차적 매입과 재무 안정성 확보를 아우르는 정교한 자산 운용 전략을 병행하고 있다"며 "가상자산 시장의 높은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대비해 보다 안정적인 자산 구조를 구축하려는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요 공시를 통해 가상자산 보유 현황을 명확히 공개하며 신뢰도 강화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일정 규모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한 상장사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과 함께 투자자 신뢰 확보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법정화폐에만 의존하는 자산 구조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며, 디지털 자산 보유는 재무 건전성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비트코인은 여전히 높은 변동성을 보이지만, 글로벌 수요 증가와 채굴량 반감에 따른 공급 제한으로 중장기적으로 가격 상승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비트코인 추가 매입은 이러한 흐름을 고려한 중장기 전략의 일환으로, 향후 기업 가치 상승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트맥스는 5월14일 자회사 아이엘포유를 흡수합병한다고 밝혔다.
이번 합병은 비트맥스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아이엘포유를 신주 발행 없이 1:0 비율로 흡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이엘포유는 제조(MES), 개발(PLM), 경영(MIS) 분야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지난해 매출액 274억원을 기록했다.
아이엘포유는 삼성SDS 최우수 파트너로 선정된 이력이 있다. 삼성전자, SK C&C, 지멘스(SIEMENS) 등 국내외 유수 기업들과 오랜 기간 협력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약 15년간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4500명 이상의 풍부한 기술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월 비트맥스가 지분 100%를 취득하며 종속기업으로 편입됐다.
비트맥스는 이번 합병을 통해 새롭게 추진하고 있는 가상자산 투자 사업과 아이엘포유가 보유한 IT 시스템 구축 역량을 결합해 신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아이엘포유가 가진 대기업 및 글로벌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추가적인 거래처 확보와 매출 증대도 기대된다.
비트맥스 관계자는 "올해 아이엘포유의 예상 매출은 350억원, 영업이익은 10억원 수준으로, 합병을 통해 경영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비트맥스의 자본력과 아이엘포유의 기술력이 결합하여 더욱 적극적인 영업 전략과 신사업 확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비트코인이 지난 2월 이후 약 석달만에 10만 달러를 회복하면서 비트맥스의 가상자산 매수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5월9일 비트맥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125개, 이더리움 500개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 상장사 중 보유량 2위 수준이다.인수 평균 단가는 비트코인 1억2860만원, 이더리움 335만원이다.
비트맥스는 지난 2월 경영권 변경 이후 사명을 맥스트에서 사명을 변경하고 비트코인에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스트래티지, 일본의 메타플래닛과 같은 사업모델을 도입하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됐다.
비트코인은 국내 거래소 업비트에서는 24시간전보다 5.12% 오른 1억4470만원에 거래 중이다. 앞으로 가상자산 상승 추세가 계속되면 비트맥스의 평가 차익 규모도 커질 전망이다.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스탠다드차타드(SC)의 제프리 켄드릭 디지털 자산 부문 책임자는 지난 6일 "2분기 비트코인 목표가였던 12만 달러가 너무 낮았던 점에 대해 사과한다"고 전했다.
이달 초에는 '투자의 귀재'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 미 증권사 캔터 피츠제럴드와 함께 '21캐피털'이라는 비트코인 투자 벤처를 설립한다고 밝힌 바 있다. 21캐피털은 출범과 동시에 4만2000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보유할 전망이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6.7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29.15% 감소. 영업이익은 34.16억 적자로 55.68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당기순이익은 43.53억 적자로 59.89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71.72억으로 전년대비 2004.87% 증가. 영업이익은 185.45억 적자로 165.25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269.72억 적자로 165.25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66억으로 전년대비 39.02% 감소. 영업이익은 165.25억 적자로 107.73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132.31억 적자로 149.99억 적자에서 적자폭 축소.
AR(증강현실) 전문업체. 사업분야는 AR 개발 플랫폼, 산업용 AR 솔루션, XR 메타버스 플랫폼, 그리고 AR 디바이스 솔루션으로 구분. AR 핵심기술을 국산화 개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MAXST AR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전세계 50개국의 30,000여개 이상의 앱 개발사가 이용. 누구나 쉽고 빠르게 현실세계를 메타버스 공간으로 만들고, 실시간으로 연결할 수 있는 XR 메타버스 개발 플랫폼 '맥스버스(MAXVERSE)'를 개발.
최대주주는 메타플랫폼투자조합(18.16%). 상호변경 : 맥스트 -> 비트맥스(25년2월).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96억으로 전년대비 22.35% 증가. 영업이익은 107.73억 적자로 42.98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당기순이익은 149.99억 적자로 43.19억 적자에서 적자폭 확대.
작년 12월9일 116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올 2월20일 26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156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5일선에 안착 중으로, 지지시엔 저점매수 관점이 유효할듯 보입니다.
손절점은 261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272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3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33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