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안타증권은 7월4일 산일전기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10만4000원으로 상향했다.
손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공장의 본격 가동, 반복 수주 구조의 정착, 미국향 수출 확대가 맞물리며 중장기적인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산일전기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57.4% 오른 1184억 원, 영업이익은 79.4% 오른 440억 원으로 추정했다. 손 연구원은 “분기 기준 최고 실적을 다시 경신할 전망”이라며 “올해 초 가동을 시작한 2공장의 고정비 레버리지 효과가 아직 본격 반영되지 않은 가운데 수주 증가에 따른 볼륨 확대로 수익성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고마진 지상 변압기 비중이 확대되며 제품 믹스가 개선되고 있고, 일부 원자재의 소싱 다변화와 설계 최적화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도 수익성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고 봤다. 구조적 개선 흐름이 중장기 마진 안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5월 수출액은 전년 대비 81%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미국 배전변압기 수입 시장에서 한국산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산일전기의 미국향 비중은 약 70%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1분기 신규 수주는 1693억 원으로 연간 가이던스(5200억 원)의 33%를 이미 달성했다. 수주잔고도 4597억 원으로 사상 최고 수준을 유지 중이다.
손 연구원은 “미국 전력망 투자가 본격화하는 시점에서 산일전기는 납기 신뢰도와 품질 경쟁력 등을 바탕으로 수출 경쟁력을 빠르게 강화하고 있다”고 짚었다.
IBK투자증권은 6월18일 산일전기에 대해 북미 송배전 전력망용 변압기를 중심으로 한 수출 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하반기부터는 증설효과도 본격화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9만원에서 11만원으로 올렸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월부터 가동된 산일전기의 2공장은 북미로 공급할 변압기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며 “매출까지6~12개월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할 때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산일전기 2공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3000억원 수준이다. 올해는 약 1000억원, 내년에는 2000억원의 매출 증가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IBK투자증권은 예상했다. 현재와 같은 수주환경이 유지되면 2027년께는 풀가동에도 무난하게 도달할 수 있을 전망이다.원가 부담도 낮춰가고 있다. 김 연구원은 “산일전기는 기존 1~2곳의 원자재 공급선에 의존했던 구조에서 벗어나 다수의 매입처 확보로 가격 협상력이 강화되고 있다”며 “기능을 유지하면서 자재 투입을 줄이는 설계 고도화를 통해 추가적인 원가 개션 여지도 크다”고 평가했다.그는 2분기 산일전기의 실적 추정치로 매출 1134억원, 영업이익 423억원을 제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50.7%와 72.6% 증가할 것이란 추정치다.김 연구원은 “단가가 높은 지상변압기 수요 확대와 1분기에 북미로 선적이 지연된 매출이 반영되고, 원자재 매입처 다변화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이 높다”고 말했다.
전력 변압기 전문 제조업체 산일전기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5월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13분 현재 4.45% 올라 6만 3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산일전기가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변압기 수요 급증의 직접적인 수혜 기대감이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027년 2공장 증설 완료 시 연간 1조 원 매출 달성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수 변압기 및 친환경 변압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수익성 개선에도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노후 전력망 교체, 데이터센터 증설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전력 인프라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전력 시스템의 핵심 부품인 변압기 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글로벌 시장 트렌드에 발맞춰 적극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산일전기는 현재 가동 중인 1공장에 더해, 오는 2027년 2공장 증설을 완료할 계획이다. 2공장 증설이 완료되면 산일전기의 변압기 생산 능력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급증하는 글로벌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연간 1조 원 규모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일반적인 변압기 외에도 특수 변압기, 친환경 변압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을 확대해 수익성 개선에도 힘쓸 계획이다. 특수 변압기는 특정 산업 분야나 특수한 환경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변압기로, 일반 변압기 대비 높은 마진율을 기대할 수 있다.
친환경 변압기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환경 오염 물질 배출을 최소화한 제품으로, ESG 경영 확산 추세에 따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 전문가들은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는 장기적인 추세이며, 산일전기는 이러한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수혜를 꾸준히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2공장 증설과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 전략은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이끌어낼 수 있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88.2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39.90% 증가. 영업이익은 375.21억으로 61.37% 증가. 당기순이익은 312.46억으로 89.74% 증가. 올해 1분기 38%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전력 설비주가 급등하고 있다. 변압기 수출이 늘어났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5월2일 오전 9시45분 현재 산일전기는 전장 대비 4200원(7.71%) 뛴 5만8700원에 거래되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4.88%), 일진전기(3.57%), 효성중공업(3.58%), LS일렉트릭(3.19%)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하며 변압기 수출액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 30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대형 변압기(정격용량 1만kVA 초과 기준) 수출액은 9억4625만달러로 전년(6억8341만달러) 대비 38.5% 증가했다. 수출액은 2022년부터 3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올해도 수출은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수출입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변압기 수출액은 10억4400만달러(1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다. 이 중에서 대미 변압기 수출액이 4억5500만달러(652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4.9% 상승하며 대폭 늘었다.4월 1~20일 수출 통계 잠정치에 따르면 이 기간 초고압 변압기 수출액은 8200만달러로 3월(7400만달러)을 넘어섰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339.97억으로 전년대비 55.7% 증가. 영업이익은 1092.32억으로 134.4% 증가. 당기순이익은 836.76억으로 114.3% 증가.
2023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2145.38억으로 전년대비 99.25% 증가. 영업이익은 466.05억으로 282.54% 증가. 당기순이익은 390.51억으로 850.61% 증가.
산업용 변압기 전문 제조 업체. 전력망 시장, 신재생에너지 시장, 산업용 변압기 시장을 주요 전방 산업으로 변압기(전력용, 배전용) 및 리액터, 소프트스타터 등을 제조 및 판매. 주요거래처로는 각국 전력망 인프라 사업자, 글로벌 인버터 제조사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자, 국내외 EPC업체와 각국의 에너지 관련 민간 및 공공기관 등. 2023년 기준 전체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80% 이상이며, 특히 미국지역에 대한 매출 비중은 2023년 기준 약 70% 수준으로 주로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배전 변압기 시장을 주요 목표시장으로 하고 있음. 최대주주는 박동석 외(56.8%).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1183.14억으로 전년대비 82.49% 증가. 영업이익은 129.56억으로 2593.56% 증가. 당기순이익은 7.00억으로 38.76% 감소.
작년 9월9일 2805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1월15일 835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43350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7월1일 93600원에서 최고가를 갱신 후 밀렸으나 7일 8100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과 고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847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882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97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07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