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스앤미디어가 차세대 비디오 코덱 ‘APV(Advanced Professional Video)’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7월7일 칩스앤미디어 관계자는 “현재 APV 인코더ㆍ디코더 하드웨어 지식재산권(IP)의 최종 설계를 마무리 중”이라며 “올해 3분기 내 상용화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PV 생태계는 2023년과 2024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개최된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SDC, Samsung Developer Conference)를 통해 공개됐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초 삼성전자, 구글(Google), 퀄컴(Qualcomm) 등과 함께 APV 비디오 코덱 생태계(APV ecosystem) 개발ㆍ확장에 참여한다”며 “APV 코덱의 핵심인 인코더ㆍ디코더 하드웨어 IP의 개발을 진행해왔다”고 설명했다.
APV는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 표준에 따른 차세대 비디오 코덱으로, 칩스앤미디어의 IP 설계 노하우를 활용해 적은 스토리지 사용량으로도 4K 60fps, 8K 120fps급 영상 처리가 가능할 정도의 고성능을 구현해 냈다. 전문 장비가 아닌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을 활용해 누구나 영화 품질(cinematic)의 전문가급 동영상 촬영과 후반 작업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번 초고화질 비디오 코덱은 핸드셋, 태블릿, 랩탑, 모바일 기기까지 포함, 안드로이드(Android)를 기반으로 하는 모든 엣지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해 iOS 비디오 코덱인 ProRes의 대항마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콘텐츠 제작의 대중화, 인공지능(AI) PC 및 확장현실(XR) 기기 확대 등 미디어 환경 변화 속에서, APV는 모바일 기반 영상 제작의 새로운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고품질 콘텐츠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흐름 속에서, APV의 상용화는 디바이스 제조사와 플랫폼 사업자 모두에게 전략적 선택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칩스앤미디어 관계자는 “자사 기술이 이번 APV 코덱 개발 공급을 통해 엣지 디바이스 분야까지 확대됨에 따라, 매출 성장은 물론 영상분야 글로벌 리더들과의 신규 사업협력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반도체 설계자산(IP) 전문기업 칩스앤미디어가 지난해 설립한 중국 합자회사(JV)가 현지 자율주행 AI(인공지능) 업체와 IP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서 JV는 DSP(디자인 솔루션 파트너) 역할을 맡아 칩스앤미디어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 시장 공략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
7월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칩스앤미디어는 최근 JV 동심매과학기술(이노칩스앤미디어, 이하 ICM)과 함께 3자 IP(지식재산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칩스앤미디어가 영상 특화 AI칩 설계를 제공하면 ICM이 현지 자율주행 AI 업체 H사의 요구에 맞게 설계를 일부 변경·공급하는 방식이다. H사는 칩스앤미디어와 수차례 거래해온 주요 고객사 중 하나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계약은 ICM과 협업을 통해 수주한 것"이라며 "ICM이 DSP 역할을 맡아 커스터마이징 부분을 담당해준 만큼 수주 폭이 넓어졌다"고 말했다.
중국은 칩스앤미디어의 주요 수출국이다. 지난해 매출액 270억원 중 46%(약 124억원)를 중국에서 벌어들였다. 회사는 ICM을 통해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내에서 늘어나고 있는 AI SoC(시세템 온 칩)향 수요를 현지화를 통해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ICM은 지난해 9월 설립 직후 2개의 고객사와 신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ICM은 칩스앤미디어의 IP를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해 연구개발 인력 15명을 운용하고 있다. 향후 30명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엔지니어는 중국에서 사업을 하던 미국 기업 등 AI반도체 분야에서 근무했던 전문인력 위주로 채용했다.
향후 목표는 중국 데이터센터 AI반도체 시장을 공략이다. 중국은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데이터센터를 많이 지은 국가로 알려졌다. 데이터센터는 큰 규모에 걸맞게 많은 서버와 반도체를 쓰는 만큼 IP 계약 규모도 크다. 이르면 내년쯤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칩스앤미디어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부터 꾸준히 매출을 확대해 매년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며 "향후 데이터센터 시장 확보를 목표로 기술개발에 매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비디오 IP 전문기업 칩스앤미디어는 올해 1분기 매출 53억원, 영업이익 2억원을 기록했다고 4월24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4%, 영업이익은 2065.8% 급증한 수치다.
실적 개선의 배경에는 중국 조인트벤처(JV) 성과와 함께 인공지능(AI) 분야의 라이선스 계약 증가가 있다. 이번 분기 라이선스 매출은 30억5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66.7% 늘었으며, 반면 로열티 매출은 20억2000만원으로 24.1% 감소했다. 회사 측은 로열티 매출 감소는 회계 인식 시점과 환율 변동 등 일시적 요인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상현 칩스앤미디어 대표는 "AI SoC 및 NPU IP 등 고부가가치 기술에 대한 글로벌 투자가 확대되고 있어, 라이선스 기회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며 "NPU IP 중심의 프로모션 강화와 글로벌 고객 기반 확대를 통해 시장 선점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칩스앤미디어는 반도체 IP의 라이선스를 공급하는 구조로, 완제품 수출 기업과 달리 관세 리스크에서 자유롭다. 이 같은 구조적 강점은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인 공급과 높은 수익성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AI와 NPU 분야에 대한 기술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고부가가치 IP 중심의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53.7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9.4% 증가. 영업이익은 2.03억으로 2065.8% 증가. 당기순이익은 6.85억 적자로 7.93억에서 적자전환.
우리 증시가 미국발 관세전쟁으로 요동치고 있다. 상호 관세가 시작된 4월9일 코스피지수는 1년 5개월 만에 2300선 밑으로 떨어졌다. 곧바로 다음날 관세 유예가 발표되자 매수가 급증해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됐다.
극심해진 변동성이 투자자들을 괴롭히고 있다. 자연스레 ‘관세 방어주’가 주목되는 시기다. 그리고 칩스앤미디어가 알려지지 않은 ‘알짜’ 방어주로 최근 부상하고 있다.
칩스앤미디어는 2015년 국내 최초로 상장한 반도체IP(Intellectual Property)사로 전문투자가들 사이에선 잘 알려져 있다. 반도체IP는 쉽게 말해 ‘반도체 회로 설계 도면’을 미리 만들어 놓고 팔거나 빌려주는 사업이다.
반도체 설계는 건물을 짓는 것과 비슷하다. 집을 지을 때 일일이 전기 배선도와 수도관, 방 구조를 새로 만드는 것보다는 검증된 설계 도면을 가져다 쓰는 게 효율적이고, 또 안전하다. 이 설계 도면을 반도체에선 IP라 부른다.
가령 스마트폰의 두뇌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칩은 수십에서 수백개의 반도체IP로 구성된다. AP는 크게 기능별로 △CPU(연산)와 △GPU(그래픽) △VPU(영상처리) △통신 △메모리(D램 등) △보안 등의 IP가 있는데 칩스앤미디어는 이중 VPU에 특화한 IP를 만들어 왔다.
칩스앤미디어가 ‘관세’ 무풍지대인 이유가 이 같은 사업 모델에 있다. 글로벌 교역은 재화나 서비스를 국경을 넘어 전달하는 행위다. 반도체IP는 언뜻 보기엔 부품(재화)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디지털 설계파일이다. 대부분 라이선스(사용권) 계약을 맺고 클라우드를 통해 전달하기 때문에 실물 수출이 없다.
그리고 관세는 물건(재화)이 국경을 넘을 때 붙는 세금이다. 반도체IP는 사용권을 파는 형태라 소프트웨어나 지적재산권 거래로 분류되고, 여기엔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칩스앤미디어가 ‘숨겨진’ 관세 방어주로 평가받는 이유는 매출의 90%가 해외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매출 270억원 중 45.9%가 중국에서 나왔고, 이어 미국 34.8%, 한국 8.5%, 일본 4.8%, 대만 4% 순이다. △중국 자율주행기업 호라이즌로보틱스와 세미드라이브 △미국 NXP‧퀄컴‧구글 등 내로라하는 반도체 밸류체인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오래전부터 수출기업으로 인식돼 관세에 취약할 것이란 선입견을 가질 수 있는데 상황은 ‘반대’다. 알려지지 않은 ‘알짜’ 관세방어주라는 것이 매력 포인트다.
국내외 기업들에 대한 실적 전망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입에 따라 출렁이고 있다. 반면 칩스앤미디어는 앞선 이유로 올해도 높은 수익성을 실현할 전망이다. 지난해 순이익이 100억원으로 순이익률이 무려 37%에 달한다. 설계도를 파는 사업이라 과거부터 수익성이 우수했다. 주요 사업비용이 연구개발(R&D)에 필요한 인건비 정도다.
중장기 전망도 밝다. 반도체IP 사업은 업력이 길수록 수익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수익구조가 IP를 팔 때 받는 라이선스 요금(Fee)과 고객사가 IP를 사용해 반도체를 만들 때 받는 로열티로 나뉜다. 라이선스와 로열티 이중 매출구조다.
업력이 길수록 로열티 수익이 누적돼 수익성이 개선된다. 통상 판매한 반도체IP에서 로열티 수익이 발생하는데 3.5~5년 정도가 소요된다. 칩스앤미디어는 2003년 설립돼 올해로 업력이 22년에 이른다. 지난해까지 글로벌 150개 기업, 1796백만개의 칩에 칩스앤미디어 IP가 적용됐다. 이에 매년 발생하는 로열티 수익이 100억원이 넘는다.
특히 칩스앤미디어는 △생성형AI와 △자율주행차 등에 기인한 반도체 시장 패러다임 변화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첨단산업은 AI연산 전용 두뇌인 NPU(신경망처리장치)를 요구하는데, 칩스앤미디어는 NPU용 IP를 2023년 9월부터 주요 고객사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이에 따른 로열티가 누적되면 또 다른 중기적 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0.75억으로 전년대비 2.0% 감소. 영업이익은 52.81억으로 32.0% 감소. 당기순이익은 100.09억으로 266.98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6.27억으로저년대비 14.7% 증가. 영업이익은 77.69억으로 6.4% 증가. 당기순이익은 266.98억 적자로 99.63억에서 적자전환.
시스템 반도체 설계 자산(IP) 개발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반도체 설계자산 전문업체. 주력사업인 비디오 IP사업은 반도체 칩을 제조하는 업체에게 비디오 IP를 라이선스함. 주요 상표로 BODA, CODA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한투반도체투자(27.48%), 주요주주는 텔레칩스(7.4%).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0.93억으로 전년대비 20.59% 증가. 영업이익은 73.03억으로 40.47% 증가. 당기순이익은 99.63억으로 58.95% 증가.
2014년 4월2일 570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작년 1월4일 379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12월10일 11250원에서 저점을 찍은 이후 올 2월11일 229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1351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7월7일 190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 집니다.
손절점은 173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8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98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18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