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주가가 2025년 상반기 국내 증시에서 눈에 띄는 상승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9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두산은 상반기 157.3% 오르며 대형 지주사 가운데 최상위 상승률 중 하나로 기록됐다. 더불어 두산2우B와 두산우 또한 연초 대비 6월 한때 300~400% 이상 급등하며 폭발적인 상승 흐름을 보였다.
새 정부의 상법 개정과 자사주 소각 기대감 등 주주친화 정책이 호재로 작용했고, 전자BG(동박적층판) 부문과 두산에너빌리티 등 계열사들이 성장사업 확대가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도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지난 6월 현역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을 맡고 있던 김정관 씨가 산업부 장관으로 깜짝 발탁되며 기대감이 더욱 커지는 모양새다.
두산의 주가를 실질적으로 견인한 부문은 전자BG다. 전자BG는 인쇄회로나 반도체 패키지에 쓰이는 동박적층판(CCL, Copper Clad Laminate)을 생산하는 전자소재 사업 부문이다.
최근 AI 서버와 고성능 GPU에 사용되는 고사양 CCL 수요가 급증하면서 두산의 핵심 성장축으로 부상했다.
두산은 2023년부터 엔비디아에 AI 가속기용 CCL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엔비디아의 반도체 벨류체인에 핵심 소재 공급사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블랙웰 등 차세대 AI 칩에 대한 공급 지위를 확보하며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런 흐름 속에 두산은 2025년 상반기 전자BG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한 8100억 원을 제시했다.
1분기에만 4850억 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1분기 영업이익률은 24.9%에 달했다.
AI 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전자BG 부문의 고성장은 중장기적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BNK투자증권은 6월30일 두산에 대해 질적 개선에 이은 양적 확장 모멘텀이 있다며 목표주가를 85만 원으로 기존 대비 41.6% 상향 조정했다.
김장원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실적이 하이엔드 소재 공급 확대로 기존 예상을 웃돌아 자체사업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존 추정치대비 1.8%, 10.4% 상향했다"며 "영업이익은 고수익 제품 비중 확대를 고려해 조정폭을 늘렸으며, 영업이익률은 전분기 29%를 상회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역대 최고 실적을 견인하는 AI가속기와 800G의 수요가 탄탄하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가는 AI가속기와 800G는 네트워크용 차세대 소재로 투자 확대에 따라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국내외 거래처에 납품 경험과 품질성능 입증으로 신규 거래처 발굴 및 발주 시장에서 추가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CCL이 성숙화된 반도체와 성장기에 있는 AI 산업에서 지속 성장의 기회와 고수익을 창출하는 좋은 업황이 유지되고 있다"며 "글로벌 신규 거래처 발굴 및 축적된 생산기술과 납품 경험을 통해 발주시장에서 선전이 예상되고, 생산시설 증설을 통해 성장기 산업용 소재 수요에 대응력이 향상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조2986.76억으로 전년동기대비 3.67% 감소. 영업이익은 1984.60억으로 42.95% 감소. 당기순이익은 112.90억으로 95.00% 감소.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8조1328.74억으로 전년대비 5.21% 감소. 영업이익은 1조0037.59억으로 30.11% 감소. 당기순이익은 3022.27억으로 11.08% 증가.
두산그룹의 사업형 지주회사. 모회사임과 동시에 전자소재 사업(전자BG), 통합 IT서비스 사업(디지털이노베이션BU) 등의 자체사업을 영위.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로는 두산로보틱스, 두산에너빌리티,오리콤 등.
20년12월 모트롤BG 사업부문을 분할한 뒤 매각. 21년7월 지게차 제조ㆍ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산업차량BG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분할 신설회사 두산산업차량을 설립. 24년1월 두산산업차량이 두산밥캣코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두산밥캣코리아로 변경.
최대주주는 박정원 외(40.11%),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8.47%).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조1301.30억으로 전년대비 12.56% 증가. 영업이익은 1조4362.62억으로 27.55% 증가. 당기순이익은 2720.74억으로 5811.69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2003년 4월7일 4823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07년 11월7일 251589원에서 고점을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2020년 3월19일 25700원에서 마무리한 이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6월30일 6995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7월7일 5320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9일 615000원에서 밀리는 중으로,
손절점은 5665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590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650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715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