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인 삼성전자 DS부문 시스템LSI사업부장(사장)이 엑시노스 2500의 후속제품을 준비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시스템LSI 사업부 경영진단과 관련해서는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박 사장은 7월11일 "엑시노스 2500에 이어 엑시노스 2600를 차근차근 잘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 미래 공학인재 양성을 위한 멘토링 행사 '한국공학한림원 영 페스티벌' 참석에 앞서 취재진을 만나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엑시노스 2500은 삼성전자의 최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로 전날 출시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플립 7'에 전량 탑재된 부품이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의 시스템LSI가 설계하고, 삼성 파운드리가 최첨단 공정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반의 3나노(㎚·1㎚=10억분의 1m)로 제조했다.AP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반도체다. 삼성이 3나노 공정을 적용해 만든 스마트폰용 AP는 엑시노스 2500이 최초이다.반도체업계에서는 향후 갤럭시 Z 플립 7 흥행이 시스템LSI의 실적 개선과 차세대 엑시노스의 개발·출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005930)가 연내 미국에서 인공지능(AI) 헬스코치 서비스를 선보인다. 그동안 갤럭시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확보한 데이터와 삼성헬스의 서비스 노하우에 AI 기술을 접목해 디지털 헬스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박헌수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 디지털헬스팀장은 7월10일(현지 시간) 뉴욕 브루클린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 간담회에서 “병원과 의료 체계를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항상 연계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삼성전자가 올해 안에 두 번 접는 3단 폴더블폰, 일명 ‘트라이폴드폰’ 출시를 예고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7월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갤럭시 언팩 2025’ 행사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안에는 트라이폴드 제품을 출시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며 “연말 출시를 목표로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반으로 접는 Z폴드7과 Z플립7를 공개한 데 이어 연내 두 번 접는 폰까지 내놓겠다는 것이다.
현재 시장에 나온 트라이폴드폰은 중국 화웨이의 ‘메이트 XT’가 유일하다. 지난해 9월 중국, 올해 2월 글로벌에 출시된 메이트 XT 가격은 400만원 안팎에 달한다. 삼성전자 트라이폴드폰 가격도 고가일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 퀄컴과 함께 개발 중인 확장현실(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도 연내 출시가 목표다. XR 안경의 경우 폭넓은 사용성을 위해 다양한 파트너십을 모색하는 단계라고 전했다.
삼성전자와 중국 업체들에 이어 애플도 폴더블폰 시장 진입을 준비 중이다. 이에 대해 노 사장은 “저희가 2019년 폴더블이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중요한 카테고리가 될 것이라고 믿고 추진한 것이 맞았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회사들이 참여하고 경쟁해 (기술이) 발전하면 그 혜택이 시장과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이라며 시장 확대를 반겼다.
삼성전자가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 7’에 자체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엑시노스를 탑재했다. 매분기 수조원대 적자를 내며 삼성의 ‘아픈 손가락’이었던 시스템반도체의 실적 향방이 이번 신제품 흥행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7월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언팩 행사를 통해 새로운 폴더블폰 시리즈를 공개했다.
특히 이번 ‘갤럭시Z플립 7’과 보급형 모델 ‘갤럭시Z플립 7 FE’에는 각각 ‘엑시노스 2500’과 ‘엑시노스 2400’이 탑재됐다. 엑시노스 시리즈가 폴더블폰에 탑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엑시노스 2500은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에서 개발하고 삼성 파운드리의 3나노 공정으로 만들어진 모바일 AP다. 최대 59TOPS(초당 59조회 연산)를 지원하는 신경망처리장치(NPU)를 바탕으로 전작 대비 39% 향상된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구현한다. 코어텍스 X5 1개, 코어텍스 A725 7개, 코어텍스 A520 2개 등 총 10개의 중앙처리장치(CPU)로 구성됐으며 최대 클럭은 3.3㎓(기가헤르츠)다. AMD RDNA3 아키텍처에 기반한 커스텀 ‘엑스클립스 950’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채용했다.
당초 삼성전자는 올 초 출시된 갤럭시S25 시리즈에 엑시노스 2500을 탑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3나노 수율 및 성능 문제가 계속되며 결국 데뷔하지 못하고, 퀄컴 스냅드래곤 8 엘리트를 전량 탑재했다.
결국 이는 삼성전자의 AP 구매 비용 증가와 상반기 파운드리 사업부 및 시스템LSI 사업부의 실적 부진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이번 갤럭시Z플립 7 시리즈 흥행에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의 하반기 실적이 달려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와 시스템LSI사업부는 지난해부터 거의 매 분기마다수조원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두 사업부의 연간 합산 적자가 5조~7조원에 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올 1분기에도 2조원대, 2분기에도 약 2조5000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상반기에만 벌써 4조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해 DS(디바이스솔루션·반도체)부문 실적 악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2분기 DS부문의 영업이익이 1조원을 밑돌 것으로 보고 있다. 메모리사업부에서 3조원의 영업이익을 냈지만, 시스템반도체 적자 규모가 워낙 커 이를 깎아먹었기 때문이다.
‘갤럭시Z플립 7’ 판매량이 늘어나면 적자 규모를 줄일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엑시노스 탑재가 많아지면 퀄컴에 대한 모바일AP 의존도를 줄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노릴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올 1분기에만 퀄컴에 4조7891억원의 모바일AP 매입 비용을 지불했다. 전년(3조4915억원) 대비 37.16% 증가한 수치다. 갤럭시S25 시리즈에 엑시노스 2500 탑재가 불발되며 발생한 지출이다.
향후 엑시노스가 성능 논란을 잠재우고 시장에서 인정받을 경우 수조원의 비용 절감 역시 기대할 수 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9조1405.0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0.05% 증가. 영업이익은 6조6852.72억으로 1.20% 증가. 당기순이익은 8조2228.78억으로 21.73% 증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0조8709.03억으로 전년대비 16.20% 증가. 영업이익은 32조7259.61억으로 398.34% 증가. 당기순이익은 34조4513.51억으로 122.45% 증가.
삼성그룹 계열의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한 전자 업체. DX 사업부문(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HHP,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 DS 사업부문(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 SDC(중소형 O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 Harman 사업부문(디지털 콕핏, 카오디오, 포터블 스피커 등) 등의 총괄사업으로 나누어 독립 경영 중.
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 반도체 사업을 주력으로 영위 중이며, 세계적 경쟁력을 보유. 스마트폰(갤럭시 시리즈 등) 및 TV 시장 등에서도 글로벌 상위 시장 점유율 유지중.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중공업, 제일기획, 호텔신라, 삼성SDS,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의 지분 보유.
최대주주는 삼성생명 외(20.15%),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7.25%), BlackRock Fund Advisors(5.03%).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8조9354.94억으로 전년대비 14.33% 감소. 영업이익은 6조5669.76억으로 84.86% 감소.당기순이익은 15조4871.00억으로 72.17% 감소..
1985년 6월5일 82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1년 1월11일 968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작년 11월14일 49900원에서 마무리한 모습입니다. 이후 올 3월27일 620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529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7월4일 647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9일 602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5952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62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682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75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