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토론

목록목록
제이엔비(452160)저점에선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5/07/13 16:29
  • 조회 205
개미신사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반도체 장비의 핵심 부품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는 중소 강소기업이 있다. 바로 진공펌프 전문 기업 제이엔비다. 자체 기술로 정밀 진공장비를 개발해낸 이 회사는 반도체 산업 미세공정의 고도화 흐름 속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기술신용평가는 최근 보고서에서 “제이엔비는 반도체 제조용 진공펌프와 유틸리티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는 기술 기반 전문기업”이라며 “진공펌프 수요가 미세공정 확대로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정밀 가공 역량을 기반으로 한 산업 다변화까지 시도 중”이라고 평가했다.

진공펌프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수적인 설비다. 웨이퍼 표면에 미세 회로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고진공 환경을 조성해주는 장비로, 공정 안정성과 수율을 좌우한다. 특히 선폭이 5나노미터 이하로 좁아질수록 진공 성능과 정밀 제어의 중요성은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

제이엔비는 이같은 기술 수요에 발맞춰 정밀 가공 기술을 중심으로 한 진공펌프 핵심 부품 국산화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장비사에 의존해오던 고급 부품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한국기술신용평가는 “자체 개발 능력과 부품 내재화 역량은 국내외 장비 업체와의 협업 확대에도 긍정적인 신호”라며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기술 자립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제이엔비의 전략적 입지가 부각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회사는 또한 반도체 외 산업으로의 확장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플라즈마, 레이저, 진공 기반 공정이 활용되는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바이오 등 고부가 산업 전반으로 정밀 부품 사업을 넓혀가며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는 중이다.

진공 기반 공정은 대기압보다 훨씬 낮은 압력(진공 상태)에서 진행되는 모든 종류의 제조 또는 처리 과정이다.

공기 중에는 먼지, 수분, 산소 등 다양한 불순물이 존재한다. 진공 상태에서는 이러한 불순물들이 제거되므로, 깨끗하고 오염 없는 환경에서 정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반도체 제조와 같이 미세하고 민감한 공정에서 특히 중요하다.



반도체 장비용 진공펌프 제조사 제이엔비가 자회사 엠씨테크의 지분을 전량 매입하고 신규 사업을 진행한다.

6월19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이엔비는 엠씨테크 유상증자에 참여해 자기 자본 대비 18.37%인 70억원을 투자한다고 공시했다. 유상증자로 신주 140만주를 취득하면 제이엔비는 엠씨테크 지분 100%(141만주)를 확보하게 된다. 취득예정일자는 6월 25일이다.

유상증자 취득에 사용할 자금은 전환사채(CB) 발행으로 조달한 70억원으로 이미 타법인 출자 예정으로 공시된 바 있다.

이번에 출자 받는 엠씨테크는 반도체용 기계 부품 제조사로 대표이사는 이정범이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43.98억으로 전년동기대비 9.46% 증가. 영업이익은 11.38억으로 63.98% 증가. 당기순이익은 9.96억으로 105.36% 증가. 



20년 넘게 삼성전자 반도체와 협력관계를 구축 중인 제이엔비가 교체 수요에 맞춰 삼성전자 중국 시안향(向) 스태커 시스템을 공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3월5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제이엔비는 삼성전자 중국 시안향(向) 반도체 공정 교체 수요와 맞물려 스태커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공급 방식은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기업의 한국지사에서 장비를 공급받아 삼성전자 중국 시안(西安) 반도체 공장에 납품하는 구조다.

지난 2002년 설립된 반도체용 진공장비 제작 및 초정밀가공 부품 생산 전문기업 제이엔비는 2003년 '스태커 시스템(stacker system)'을 개발한 후 고정밀 부품 제조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스태커 시스템은 공정 과정을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반도체 생산공정 등 고정밀 공정에서 필수부품이다. 반도체의 경우 아주 작은 이물질이라도 공정 과정에서 나타나면 불량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이는 반도체 수율(양품 비율)와 직결되는 문제다.제이엔비의 스태커 시스템은 2004년에 삼성전자 생산라인 내 표준으로 인정받았고, 20년 가까이 삼성전자에 납품하고 있다. 현재 글로벌 진공펌프 제조 기업과 함께 24개의 삼성 반도체 생산 라인에 2000가지 이상의 맞춤형 스태커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제이엔비 관계자는 "일단 삼성전자 중국 시안 반도체 공장 교체 수요와 관련해서 스태커 시스템 장비공급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삼성전자가 중국 시안 공장에서 286단(V9·9세대) 낸드플래시로 공정을 전환하는 시점에서다. 삼성전자는 올해 시안 공장 일부를 286단 낸드 라인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상반기 중 286단 낸드 공정에 필요한 새로운 장비를 반입해 월 2000~5000장 규모의 라인을 하반기까지 구축할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2023년부터 시안 공장의 주력이던 128단(V6) 낸드 공정을 236단(V8) 라인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하지만 한 세대 더 업그 레이드된 286단 라인을 설치하려는 방침이 대외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낸드플래시는 전자기기 속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반도체이다. 칩 속의 기억 공간을 아파트처럼 수직으로 쌓아 올리는데, 더 높은 단수를 쌓을수록 고용량 칩을 만들 수 있어 낸드 제조사 간 '쌓기' 기술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시안 공장은 현재 삼성전자의 유일한 해외 메모리 생산 기지이자 낸드 거점이기도 하다. 삼성 전체 낸드 생산량의 40%가량을 이곳에서 만들고 구형 제품 위주로 제품을 제조해왔다. 미국의 강도 높은 반도체 장비 제재로 중국에 128단 이상 낸드플래시를 생산하기 위한 미국산 장비를 들일 수 없는 것 등이 고려됐다.제이앤비는 중국 시안뿐 아니라 국내 삼성전자 진공펌프 장비교체 수요 도래와 함께 수혜 기대감이 나온다.업계 관계자는 "국내 삼성전자의 반도체 진공펌프 교체시기에 맞춰 제이앤비의 장비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실제 제이앤비의 최근 물량이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0.33억으로 전년대비 4.7% 증가. 영업이익은 33.65억으로 2.2% 증가. 당기순이익은 19.70억으로 25.43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제이엔비(452160)의 주가가 급등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1월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이엔비의 주가는 오후 3시 5분 기준 전일 대비 13.43% 상승한 6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트럼프가 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가운데 트럼프의 중국 견제가 한국의 반도체 협력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자 시장에서는 미국이 중국에게 반도체 기술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동맹국 위주의 반도체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어, 한국을 아시아 파트너로 삼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미국 무역대표부 고문을 지낸 클로드 바필드 미국기업연구소(AEI) 연구원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승리하고 미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같은 핵심 동맹과의 협력과 투자 유치가 중요하다"며, "경제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더욱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전했다.

또한, 2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핵심 인력에 대한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영입 공세가 거세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대형 메모리 반도체 기업 뿐만 아니라 새롭게 부상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반도체 장비 업체 등 영입 타깃이 확대되고 있어 우려가 나오고 있다.

최근 네덜란드 정부도 오는 4월 1일부터 반도체 생산 장비에 대한 수출 규제를 강화하는 등 미국의 대중국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5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정부는 ASML 같은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첨단 측정 및 검사 장비에 대한 새로운 수출 허가 요건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외교통상부의 레이네르 클레버 장관은 "이번 조치는 특정 군사적 활용 가능성이 있는 기술의 무분별한 수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며, "기술 발전으로 인해 특정 생산 장비의 수출이 더 높은 보안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국가 안전을 위해 이번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의 중국 견제 과정에서 국내 반도체 업계 수혜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가 미국 내 반도체 설비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협력 기업들도 같이 수혜를 받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제이엔비는 반도체용 진공장비 제작 및 초정밀가공 부품 생산 전문기업으로 삼성전자의 파트너사다. 2003년 '스태커 시스템(stacker system)'을 개발한 후 20년간 삼성전자 생산라인 내 표준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삼성전자의 28나노 공정 IT 기기용 전력반도체와 통신반도체를 생산하는 미국 텍사스 오스틴시에 위치한 통신 반도체 공장에 적용될 스태커 시스템의 설계 및 제조도 완료한 바 있다.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53.13억으로 전년대비 7.47% 감소. 영업이익은 32.79억으로 34.75% 감소. 당기순이익은 18.76억 적자로 52.20억에서 적자전환. 


DB금융스팩9호와의 스팩소멸합병으로 상장된 업체. 반도체 및 LCD, 산업용 진공 시스템의 제조 및 판매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 반도체 제조 시설에 들어가는 진공펌프 연동 utility platform인 stacker system 장비(STACKER, ON TOOL 등) 제조와 초고진공 펌프에 들어가는 정밀가공부품(Head Plate 류, Stator 류, Booster 류)을 중점적으로 정밀 가공하여 공급. 최대주주는 이정범 외(71.12%).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5.50억으로 전년대비 13.29% 증가. 영업이익은 50.26억으로 51.93% 증가. 당기순이익은 52.20억으로 0.93.% 증가. 


2023년 11월24일 상장, 당일 22500원에서 고점을 찍고 조정을 보이다 작년 12월10일 381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12일 793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3925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7월1일 663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리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571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595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6545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72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