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성장 중인 지엔씨에너지가 자사주를 처분해 162억 원의 자금을 조달하면서 신사업에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7월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지엔씨에너지는 전 거래일 대비 1.28% 오른 3만5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7일에는 전 거래일 대비 8.29% 오른 3만5250원에 마감했다. 지난달 20일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3만6950원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앞서 지엔씨에너지는 3일 지분 3% 수준인 50만 주를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로 처분하기로 했다. 신사업에 투자하고 유동성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장이 끝난 뒤 나온 블록딜 소식에 주가는 장외거래에서 3만2600원으로 마무리됐다. 블록딜이 예고된 4일에도 약세가 이어졌다. 4일 오후 지엔씨에너지는 NH투자증권과 이외 국내투자자들에 50만 주를 성공적으로 넘기면서 162억4500만 원의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처분 후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 비율은 2.59% 수준이다. 막대한 자금 조달로 신사업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가는 다시 급등했다.
특히 지엔씨에너지는 7일 주주총회를 열고 신규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정관에 △정보통신업 및 정보서비스업 △운송장비용 가스 충전업 등을 추가했다. 자본준비금을 50억 원 감액해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했다.
회사 관계자는 “조달한 자금은 수소 발전 사업을 준비하고 있어서 그쪽으로 사용할 예정”이라며 “투자 금액은 전액이 될지 여유 자금이 남으면 다른 데 투자해야 할지 전반적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신규 사업은 준비 단계에 있어서 결정되면 별도로 알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지엔씨에너지는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이 국가 핵심 전략으로 떠오르면서 수혜를 입고 있다. 지엔씨에너지는 데이터센터 비상 발전기 산업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AI 클라우드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면서 비상 발전기 수요도 증가해 실적이 급성장 중이다. 1분기에는 매출액 663억 원, 영업이익 150억 원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성과를 냈다.
신재생에너지 투자사업에서의 수익도 증가하고 있다. 업황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는 점을 고려하면 호조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산퓨얼셀, 서라벌도시가스 등과 ‘지역 에너지 복지 확대를 위한 에너지 사업 공동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기도 했다. 지엔씨에너지는 사업개발과 투자, 설계ㆍ조달ㆍ시공(EPC) 업무를 담당한다. 분산형 발전과 도시가스를 필요로 하는 지역에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구축해 전기, 열,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AI데이터센터용 비상발전기 회사 지엔씨에너지가 50억원 규모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한다. 여타 상장사들처럼 비과세 배당 재원으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지엔씨에너지는 오는 7월7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정관 일부 변경과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을 상정키로 했다고 5월26일 공시했다.
정보통신업 및 정보서비스업, 운송장비용 가스 충전업을 정관상 사업목적에 추가한다. 신규 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목적이다.
이와 함께 이익잉여금 전입안건은 자본준비금인 주식발행초과금 중 50억원을 감액,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내용이 골자다.
지엔씨에너지는 지난 회기 결산과 관련 15억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한 바 있다.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자본준비금은 배당에 사용할 수 있다. 배당재원이 확충될 것으로 보인다.
LG CNS가 '발전기' 전문업체 지엔씨에너지와 함께 데이터센터 구축 서비스에 필요한 하드웨어 역량을 강화한다고 5월21일 밝혔다.
지엔씨에너지는 마이크로소프트와 탈레스 디아이에스를 넘어 현재 LG CNS의 매입액 상위 거래처로 자리잡았다. 고객의 기술적 요구사항이 소프트웨어에서 인프라로 변화되면서 LG CNS의 협력 구조가 달라지고 있다.
LG CNS 클라우드&AI 사업부는 데이터센터부터 인프라, 클라우드, 인공지능까지 연계하는 엔드투엔드 인공지능 전환(AX)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G CNS는 데이터센터 구축에 강점이 있다. 92년 국내 최초 데이터센터를 개소한 이래 국내외 7곳을 운영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LG CNS는 데이터센터 내 전력계통, 냉방공조, 네트워크, 보안관제 영역에서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 중이다. 이 가운데 전력계통의 품질을 한층 끌어올리는데 지엔씨에너지의 발전기를 활용한다.
지엔씨에너지는 디젤엔진과 가스터빈 기반의 발전기를 제공하는 업체다. 국내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비상발전기 공급의 70%를 담당할 정도의 탑티어 벤더다.
LG CNS와 지엔씨에너지의 인연은 3년 전 퍼시픽써니자산운용의 죽전 데이터센터 과제를 수주하면서 시작했다. 이 수주의 계약액은 약 3505억원, LG CNS 직전년도 매출액의 5% 이상을 차지하는 대형 사업이었다.
퍼시픽써니자산운용은 죽전 센터의 상면마다 약 1000개의 랙(Rack)을 배치하는 만큼 높은 수준의 전력용량을 요구했다. 이에 LG CNS는 발전기 공급업체로 지엔씨에너지를 선정해 총 9800킬로와트(kW) 규모의 가스터빈 발전기를 죽전 센터에 배치했다. 지엔씨에너지가 죽전 센터에 277억원 규모 발전기를 제공한 결과다.
현재 LG CNS가 설계하는 죽전 센터의 완공 시기는 2025년 9월 30일이다. 공사 진행률은 약 77%이다.
양사의 관계는 이지스자산운용의 데이터센터 수주에서도 지속됐다. 2023년 LG CNS는 이지스자산운용의 하남, 삼송 센터의 구축을 추진했다. 이때 지엔씨에너지는 2곳에 발전기 공급계약을 체결, 약 360억원의 수주액을 확보한 바 있다.
이달 초 지엔씨에너지는 이지스자산운용의 하이퍼스케일급 안산 센터에 265억원 규모의 비상발전기 공급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LG CNS는 이 과제에는 참여하지 않고 삼성물산이 전담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발전기는 데이터센터에 필수 설비로 LG CNS의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 확장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데이터센터 구축 서비스는 LG CNS의 클라우드&AI 사업부에 포함된다. 이 사업부는 1분기 717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0% 성장했다.
지엔씨에너지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29% 증가한 149억원을 기록했다고 5월15일 밝혔다. 이는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이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6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고, 당기순이익도 288% 늘어난 130억원을 기록하며 수익성과 성장성 모두에서 고른 성과를 보였다.
지엔씨에너지는 2022년까지 연간 영업이익이 70억원 내외였으나, 최근 3분기 연속으로 분기별 영업이익 130억원 이상을 기록하며 질적 도약을 이뤄낸 성장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지엔씨에너지는 이번 실적 상승의 주요 배경으로 ▲2024년 인수한 파푸아뉴기니 발전소의 안정적 운영 ▲신재생에너지 투자사업 수익 증가 ▲AI·클라우드 기반 데이터센터 확산에 따른 비상발전기 수요 증가 등을 꼽았다.
최근 정부가 AI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으로 육성하면서 AI 인프라의 중심인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는 고밀도 전력 수요 확대와 함께 비상발전 설비 시장 성장으로 직결되고 있으며, 지엔씨에너지는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엔씨에너지는 AI 및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중심으로 비상발전 솔루션 공급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실적 개선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엔씨에너지는 비상발전 설비 및 친환경·신재생에너지 분야 전문 기업으로 국내 비상발전기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AI와 데이터센터 산업 확산의 직접적인 수혜 기업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시대의 흐름을 읽고 수년 전부터 준비해온 친환경 비상발전 및 투자 사업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며 “상반기부터 본격화된 주요 프로젝트 수주와 현재 협의 중인 대형 계약들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올해 수주 목표 달성도 무난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시장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662.75억으로 전년동기대비 64.61% 증가. 영업이익은 149.87억으로 529.97% 증가. 당기순이익은 130.88억으로 288.25% 증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263.16억으로 전년대비 35.88% 증가. 영업이익은 317.04억으로 187.62% 증가. 당기순이익은 388.65억으로 232.04% 증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664.17억으로 전년대비 12.03% 증가. 영업이익은 110.23억으로 80.91% 증가. 당기순이익은 117.05억으로 54.97% 감소.
비상용 발전기사업을 주력으로 영위하는 업체. 비상용 발전기사업에서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상용 발전인 열병합 발전사업에도 진출. 특히, 가스터빈 비상발전기의 시장 점유율을 높혀 가고있으며 연료전지 발전사업과 선박용 비상 발전기 사업, 스팀터빈 설치 시공에 꾸준히 참여중. 신성장동력으로 바이오가스 발전사업을 영위중이며, 신재생에너지(지열 냉,난방 시스템과 연료전지) 사업도 영위. 22년5월 연료전지 및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석문그린에너지를 설립. 최대주주는 안병철 외(34.59%).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485.46억으로 전년대비 21.27% 증가. 영업이익은 60.93억으로 11.85% 감소. 당기순이익은 259.94억으로 592.07% 증가.
2020년 3월19일 1940원에서 최저점을 찍은 후 작년 5월16일 1144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0월31일 4845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7월11일 382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14일 3540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3575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372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41000원 이상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451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