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의 신고가 경신 랠리에 7월11일 국내 증시에서 관련 종목들도 연일 강세를 보였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우리기술투자[041190]는 전장보다 15.04% 오른 1만1천930원에 장을 마치며 나흘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날에는 장 후반 상승분을 대거 반납했지만, 이날은 주가가 뒷심을 발휘해 오히려 오름폭을 키웠다. 우리기술투자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관련주로 분류된다.
이외에도 한화투자증권[003530](2.69%), 한화투자증권우[003535](3.15%), 컴투스홀딩스[063080](1.77%) 등 가상화폐 관련주가 연일 강세를 나타냈다. 이들 종목 모두 전날보다 상승률이 높았던 점이 눈에 띈다.
비트코인 가격이 11만6천474달러에 거래되며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가격이 추가로 오를 수 있다는 전망도 잇따르는 결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및 경기 불확실성으로 위축됐던 위험 자산 선호 심리가 최근 완화되며 가상화폐 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는 모습이다.
iM증권은 "비트코인이 신고가를 경신하는 동시에 국내 증시 상승세도 강한 편"이라며 "가격을 움직이는 동인은 다르지만, 공통점은 시장 참가자들이 유동성 환경이 우호적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런 유동성 환경은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심리를 유지시키고 있다"며 "더불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결국 관세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존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11만2000달러(약 1억5385만원)를 넘어서며 한 달여 만에 사상 최고가를 새로 썼다. 나스닥지수의 최고치 경신으로 위험자산 투자 수요가 늘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도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7월10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4시55분(한국시간) 24시간 전 대비 3.04% 오른 11만2055달러에 거래됐다. 11만1900달러대에서 거래된 지난 5월 23일 이후 한 달여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비트코인은 비슷한 시간 국내 거래소에서도 1억5100만원대까지 치솟았다. 다만 해외 시장과의 거래 가격 차를 나타내는 ‘김치 프리미엄’이 최근 마이너스로 돌아선 영향으로 기존 최고가(1억6300만원)를 넘지는 못했다.비트코인 외에도 이더리움과 리플, 도지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가 나란히 상승했다. 기술주들이 모인 나스닥지수가 3거래일 만에 역대 최고치를 갈아 치우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된 영향이 컸다는 평가다. 이날 나스닥시장에선 엔비디아 시가총액이 처음으로 4조달러를 돌파하는 등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다. 미국 경제매체 CNBC는 “비트코인은 여전히 투자심리에 따라 주식과 함께 오르내리는 위험자산으로 여겨진다”며 “위험자산 선호 분위기로 성장주 투자가 늘면 암호화폐 랠리도 함께 펼쳐지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자 국내 증시에선 이날 신성이엔지(12.06%), 코오롱(11.59%), 우리기술투자(3.91%), 한화투자증권(1.29%) 등 관련주가 일제히 급등세를 탔다. 우리기술투자는 장중 16.52%까지 뛰었다. 이 회사는 국내 대표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지분 7.20%(1분기 기준)를 보유하고 있다. 신성이엔지는 우리기술투자 지분 9%를 확보하고 있어 관련주로 묶인다.코오롱의 경우 계열사인 코오롱인베스트먼트가 두나무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지며 매수세가 유입됐다. 가상자산 거래가 늘면 지분법상 이익이 실적에 반영될 것이란 기대가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우리기술투자(041190)가 잇따른 기관 매수에 주목을 받고 있다.
7월4일 오후 1시10분 현재 기관은 우리기술투자에 대해 11억2800만원 순매수를 기록중이다. 기관은 지난 6월 초 이후 우리기술투자 주식을 160억원 이상 순매수했다.
우리기술투자는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의 주요 주주로, 우리기술투자의 두나무 지분율은 7.20%에 달한다. 2015년 55억원을 투자했는데 지분 가치는 10년 사이 급증했다.
증권플러스 비상장 시세에 따르면 두나무의 장외 주식 가격은 2024년 7월 4일 10만2000원에서 2025년 7월 4일 현재 25만7000원을 기록 중이다.
비트코인의 상승과 스테이블 코인 도입 기대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27.0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85.66% 증가. 영업이익은 153.76억으로 57.14% 증가. 당기순이익은 148.38억으로 68.19% 증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922.51억으로 전년대비 12.60% 증가. 영업이익은 1756.84억으로 14.13% 증가. 당기순이익은 1477.38억으로 21.12% 증가.
신성이엔지 계열의 벤처캐피탈 업체.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신기술사업금융업, 시설대여업 및 할부금융업 등을 영위. 최대주주는 이정훈 외(30.91%).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707.41억으로 382.97% 증가. 영업이익은 1539.30억으로 4308.93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219.84억으로 3278.25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2003년 3월17일 135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1년 4월7일 1355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2023년 10월4일 3005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2024년 3월5일 1238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올 4월9일 546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7월14일 125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6일 10310원에서 저점을 찍고 저점을 높히는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03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072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18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30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