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젠(대표 정용지)이 지난 7월 16일부터 18일까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에서 열린 제약·바이오 전시회 'CPHI South East AISA 2025' 에 참가해, 자사의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과 혁신적인 주요 제품군을 선보이며 성황리에 일정을 마쳤다.이번 전시에서 케어젠은 전시장 핵심 구역에 대형 부스를 설치하고 "We Don't Just Add Years, We Redesign Longevity" 라는 새로운 슬로건을 공개했다. 이 슬로건은 단순한 생명 연장을 넘어, 삶이 질과 기능을 과학적으로 향상시키는 진정한 의미의 '건강한 장수' 를 재설계 및 실현하겠다는 케어젠의 철학과 기술 비전을 담고 있다.
케어젠은 펩타이드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단순한 기능성 개선을 넘어, 개인의 전 생애 건강을 과학적으로 설계하고 최적화 하는 '바이오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선도기업임을 강조했다.이번 행사 기간 동안 케어젠 부스를 방문한 기업은 20개국 110개사에 달했으며, 특히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아시아 주요 제약사들이 연이어 방문해, 케어젠이 개발한 건강기능식품 3종인 코글루타이드(Korglutide), 마이오키(Myoki), 프로지스테롤(ProGsterol)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케어젠의 부스는 펩타이드의 작용기전, 임상 결과, 기술 확장성등 핵심 정보를 시각화 하여 구성함으로써 방문객의 이해를 도왔고, 복잡한 과학 기술을 직관적으로 전달하는데 중점을 뒀다. 단순한 정보나열이 아닌, 펩타이드가 인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어떤 효능을 발휘하는지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구성해 방문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케어젠은 24년 동안 꾸준한 연구로 축적해 온 펩타이드 기술력과 그 우수성을 바탕으로 전시 기간 동안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과 활발한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CPHI 행사 기간 동안 가장 눈길을 끈 제품은 세계 최초의 경구용 GLP-1 펩타이드 건강기능식품인 '코글루타이드(Korglutide)' 였다. CPHI 주최측은 행사 공식 뉴스레터 1면에 케어젠 부스를 소개했고, 전시 홍보 영상에서도 코글루타이드를 단독 포커스로 조명하며 현장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GLP-1 기반 제품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비만 치료 및 당대사 조절 의 핵심트렌드로 주목받고 있으며, 코글루타이드는 누구나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되며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평가 받고 있다.전시기간 동안 케어젠의 부스를 여러 차례 찾은 한 인도 제약사 관계자는 코글루타이드에 대해 "기존 GLP-1 유사체와 다른 방식으로 수용체를 자극해 동일한 대사 경로를 활성화하면서, 효과는 유지하고 부작용은 줄이는 First-in-class 제품" 이라고 극찬했다. 그는 이어 "무엇보다도 비만 치료제를 의약품에 국한하지 않고, 건강기능식품으로 상용화하여 사용자 접근성과 안전성을 높인 점이 인상적" 이라며, '복잡한 기술을 단순화하여 빠르게 실용화한 전략적 결단이 매우 앞서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인도는 낮은 인건비와 제조비용을 기반으로 한 가격경쟁력으로 세계 3위의 의약품 생산국이며, 제네릭 의약품과 OEM 부분에서 글로벌 리더이다. 글로벌 제약사의 생산기지 역할을 수행하며, 미국, 유럽, 일본 등지로 수출하는 제네릭 의약품과 원료의약품, 의약품 중간체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 및 시장 규모를 고려할때 직접 공급보다는 기술 이전 방식의 협력 모델이 이상적"이라고 강조했다.이번 전시회를 통해 케어젠은 펩타이드 기술의 글로벌 수요와 확장성을 다시금 확인했으며, 향후 다양한 파트너십과 수출 계약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용지 케어젠 대표는 "불과 3년전, 케어젠이 합성 펩타이드 기반의 건강기능식품인 '프로지스테롤(Progsterol)'을 처음 출시했을 때만 해도, 경구용 펩타이드에 대한 인식이 낮았지만, 지금은 시장의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다." 며 " 이제는 각국의 주요 기업들이 먼저 찾아와 협의를 요청하는 단계로 진입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BIO USA, CPHI China 등 글로벌 무대에서 케어젠의 펩타이드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확연히 달라진 것을 체감하고 있다"며 "아직 공개하지 않은 펩타이드 파이프라인도 다수 준비 돼 있으며, 전임상 완료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케어젠은 오는 7월 29일 서울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 센터 2층ITSQUARE에서 코글루타이드의 임상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통해, 제품의 구체적인 효능과 성과, 시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케어젠(대표 정용지)은 GLP-1 펩타이드 기반 경구형 체중감량 건강기능식품 '코글루타이드(Korglutide)'가 중동과 북중미 시장 진입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섰다고 4월11일 밝혔다. 케어젠은 최근 레바논 보건당국 (Ministry of Public Health of Lebanon)으로부터 코글루타이드를 건강기능식품으로 정식 등록 받았다. 이는 경구용GLP-1 유사체 기반 펩타이드가 건강기능식품으로 등록된 최초의 사례로, 주사제 중심의 기존 GLP-1 의약품 시장에 경구형 대체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동시에 케어젠은 멕시코 제약사 IFA Celtics와 4,200만 달러 (한화 약 580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북중미 시장 진출도 본격화했다.
IFA Celtics 는 1965년 설립된 멕시코 제약사로, 전국 유통망을 통해 85개 브랜드 및 240여 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비만 치료제를 포함한 대사질환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해 오고 있는 멕시코의 대표 제약사이다.
멕시코는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분류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비만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북중미 지역에서는 미국에 이어 두번째로 큰 시장이다.
시장조사기관 Grand View Research 에 따르면 멕시코 체중관리 시장은 2030년 까지 약 111억 달러(환화 약 15조)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케어젠은 이러한 시장 흐름에 발맞춰 중장기 수요 예측을 바탕으로 공급 규모를 설정했으며, 초기 계약 조건은 유연하게 설계되었다. 멕시코 내 시장 반응과 수요에 따라 공급 확대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다.
멕시코 IFA Celtics 관계자는 "GLP-1 유사체를 건강기능식품으로 상업화할 수 있는 기술력은 전 세계적으로 케어젠이 유일하다"며, "코글루타이드는 체중 감량을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쉽게 섭취 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체중 감량 효과, 높은 안전성, 합리적인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있어 멕시코 시장에서 수요확대와 점유율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고 밝혔다. 이어 "이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영업 활동을 개시한 상태" 라고 덧붙였다.
멕시코의 코글루타이드 등록은 10월 내 완료될 예정이며 이르면 11월부터 출고가 개시 될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레바논을 포함한 중동 지역은 최근 급속히 비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장이다. WHO에 따르면 일부 국가에서는 성인의 40% 이상이 비만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주사제가 아닌 경구 복용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형태의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케어젠은 레바논 등록을 교두보 삼아 초기 물량을 공급하고, 향후 중동 전역으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이번 등록에는 코글루타이드 외에도 혈당 조절 펩타이드 '프로지스테롤(ProGsterol)'도 포함되었다. 이 제품은 인슐린 민감도를 높여 혈당을 안정화시키며, 당뇨 전 단계 및 제2형 당뇨 환자를 주요 타깃으로 한다. 2022년 건강기능식품으로 출시된 이후 멕시코 등에서는 의약품으로 등록되었으며, 이란 등에서는 비알콜성 지방간, 다낭성 난소증후군 등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대사질환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면서 적응증을 확장하고 있다.
케어젠 관계자는 "코글루타이드와 프로지스테롤은 7월 중순 출고돼, 3분기부터 본격적인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글루타이드는 기존 GLP-1 주사제와 동일한 작용 기전을 기반으로 작용하며, 처방전 없이 일상 복용이 가능한 경구 제형 펩타이드 제품이다. 치료제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소비자에게도 복용 편의성과 접근성을 제공하며, 부작용 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케어젠에 따르면 코글루타이드는 지방 중심의 체중 감량과 함께 근육 손실 없이 당화혈색소(HbA1c) 수치를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현재 통계 분석을 마무리 중이며 이달 29일 공식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케어젠은 향후 미국 FDA의 신규식이원료(New Dietary Ingredient, NDI) 등록을 연내 완료할 예정이며, 유럽 진출을 위한 이탈리아 임상도 준비 중이다. 인도 및 에콰도르에서는 등록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GLP-1 기반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경구형 GLP-1건강기능식품'이라는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전략적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2023년 매출액은 792.10억으로 전년대비 14.63% 증가. 영업이익은 403.78억으로 20.07% 증가. 당기순이익은 399.30억으로 46.70% 증가.
펩타이드(Biomimetic Peptide)와 성장인자 단백질(Growth Factor)에 대한 연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업체. 주요 제품으로 전문테라피용(안면 미용 필러, 안면/바디/비만/관절 케어 필러) 제품,코스메슈티컬(스킨 및 헤어 케어, 미백, 항염증) 제품, 원료(펩타이드, 성장인자) 제품, 건강기능식품(혈당조절) 제품 등이 있음.
신규사업으로 코에 뿌리는 COVID-19 항바이러스/폐섬유증 치료제, 노인성 안구질환 황반변성 치료제, 항비만 효과를 갖는 펩타이드 제품 개발중. 최대주주는 정용지 외(64.06%).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90.98억으로 전년대비 16.94% 증가. 영업이익은 336.26억으로 19.22% 증가. 당기순이익은 272.17억으로 8.07% 증가.
2017년 3월23일 9632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3년 7월21일 534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작년 8월8일 1485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6일 354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5월7일 2275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541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563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620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682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