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1시 18분 기준 NHN KCP는 전 거래일 대비 13.72% 오른 1만8,2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지난 11일 하나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수십만개의 가맹점 네트워크와 결제 보안 기술을 바탕으로 카드·간편결제는 물론 암호화폐 기반 결제 기술 확보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던 NHN KCP가 지난달 24일 11종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하며 향후 발행과 유통까지 담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최재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NHN KCP에 대해 "NHN KCP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최대 수혜를 받을 수 있다"며 "스테이블코인은 크게 발행, 유통 부문에서 수혜 강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NHN KCP는 지난달 11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상표권 출원을 완료했다"며 "수십만개 가맹점을 보유한 전자결제 사업자 특성상 직접 유통까지 담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부연했다.
업계 관계자 또한 “NHN KCP는 국내 1위 PG사이자, 모회사(NHN페이코)는 간편결제 사업을 운영 중”이라며 “코인 발행과 유통 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조”라고 전망했다.이와 더불어 최근 글로벌 결제 기업 월드페이(Worldpay)와 가맹점 레퍼럴 계약을 체결한 데 따른 기대감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월드페이는 전 세계 174개국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선도 결제 기술 기업이다. 비자(Visa), 마스터(Master), 아멕스(AMEX), JCB 등 글로벌 카드사와 구글페이, 애플페이, 삼성페이 등 간편결제의 결제·정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135개 통화로 실시간 환율을 적용해 정산을 지원하고, 가맹점별로 결제 연동부터 실제 런칭까지 맞춤형 결제 서비스도제공한다.
그로쓰리서치는 7월17일 NHN KCP에 대해 스테이블 코인 시장 확대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NHN KCP는 지난 1994년 설립돼 2002년 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기업이다. 온·오프라인 전자결제 전문 기업으로, 전자결제 지급대행 PG(Payment Gatement), 온·오프라인 부가통신망 VAN(Value Added Network)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매출 비중은 온라인결제 89.51%, 오프라인결제 9.22%, 프로젝트사업 1.28%로 구성돼 있다.
한용희 그로쓰리서치 연구원은 "NHN KCP는 페이코(PAYCO), KCPpay 등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 중으로, 네이버, 쿠팡 등 국내 대형 가맹점 뿐만 아니라 애플,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들의 가맹점들 또한 다수 보유 중"이라면서 "지급결제 수단으로서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확대될수록 거래액·가맹점 보유 측면에서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공고히 유지 중인 NHN KCP의 수혜가 가장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NHN KCP는 지난달 KRWPS, KSKOR등 총 11종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한 상표권 출원을 완료한 상황으로, 발행 이후 확보 중인 수십만개의 가맹점을 기반으로 PG 사업자 특성 상 직접 유통까지 담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발행뿐만 아니라 유통까지 담당할 경우 PG사 확보 경쟁에 따른 수수료 부담이 타 경쟁사 대비 확연히 감소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비즈니스의 주도권 확보와 동시에 실적 개선까지 이끄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한 연구원은 "스테이블코인 사용에 있어 쟁점이 되는 부분은 단연코 안전성"이라며 "PG사는 디지털 결제 시 정보 중계, 거래 승인·정산 뿐만 아니라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시스템까지 갖춰야 하기 때문에 스테이블코인 활용성에 대해 PG사들의 역할이 크게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결제 시스템, 인프라를 갖춘 PG사들의 수혜가 예상된"며 "특히 NHN KCP의 경우 기존 신용카드 결제 1위 PG사인 만큼 스테이블코인이 결제 수단으로써 공고히 자리 잡게된다면 수혜 강도가 가장 높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810.71억으로 전년동기대비 4.81% 증가. 영업이익은 109.07억으로 2.30% 감소. 당기순이익은 99.45억으로 22.57% 감소.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1053.26억으로 전년대비 13.71% 증가. 영업이익은 437.82억으로 4.34% 증가. 당기순이익은 452.57억으로 28.51% 증가.
2023년 매출액은 9720.16억으로 18.1% 증가. 영업이익은 419.59억으로 5.1% 감소. 당기순이익은 347.04억으로 0.4% 감소.
종합결제기업. 온라인결제, 오프라인결제, 프로젝트 사업부문으로 총 3개사업부 체제로 운영. 온라인결제 사업부는 온라인쇼핑몰 전자결제대행(PG) 서비스와 온라인 부가통신망(VA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오프라인결제 사업부는 오프라인 부가통신망(VAN) 사업 및 결제 단말기 공급업을 영위. 프로젝트 사업부는 O2O 결제 및 연계서비스와 함께 무인주문결제사업, 주문중계서비스(주문데이터 중계 서비스), 온/오프라인 통합솔루션 제공 사업, 클라우드 POS 솔루션 및 하드웨어 유통 사업을 영위. 최대주주는 NHN페이코 외(42.58%), 주요주주는 FIL Limited(6.48%).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8227.63억으로 전년대비 10.38% 증가. 영업이익은 442.08억으로 2.42% 증가. 당기순이익은 348.55억으로 14.89% 증가.
2004년 9월7일 228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0년 8월31일 43015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작년 11월13일 6650원에서 마무리한 모습입니다. 이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7월11일 1954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16일 1494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604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67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184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02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