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토론

목록목록
에스엘에스바이오(24625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5/07/23 11:20
  • 조회 257
개미신사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대신증권은 7월1일 에스엘에 대해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으로 2분기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전망"이라며 목표주가를 기존 5만4000원에서 5만원으로 8% 하향 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에스엘의 2분기 연결 실적은 매출액 1조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하고, 영업이익 1107억원으로 25%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영업이익 컨센서스(1230억원)와 직전 추정치(1217억원) 모두 하회하는 수치다. OPM(영업이익률)은 8%로 예상됐다.

실적 부진의 원인은 미국 관세 부과다. 김 연구원은 "미국법인향 CKD(반조립제품) 부품 매출은 연간 약 2600억원 규모로, 단순 계산 시 연간 약 670억원의 관세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며 "5월 말부터 일부 관세 영향이 반영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매출이 4531억원(+6.0%)으로 비교적 견조했지만, 기타 지역에서 25% 줄어든 422억원으로 집계될 전망이다. 한국과 인도 매출도 각각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하반기 실적 개선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다. 김 연구원은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모델의 국내 및 북미 판매가 하반기부터 본격화되고, 현대차와 GM 간 협력에 따른 수혜도 기대된다"며 "로보틱스 사업 확대 가능성과 함께 중장기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다.

목표주가는 2025~2026년 평균 EPS(주당순이익) 7275원에 과거 이익 안정기(2013~~2017년)의 평균 PER(주가수익비율) 6.9배를 적용해 산출했다. 김 연구원은 "업종 전반에 걸친 관세 부담 완화가 이뤄진다면 에스엘은 가장 먼저 주목받을 수 있는 부품사"라고 평가했다.



에스엘은 2분기 2025년 완성차 및 부품에 대한 미국 관세 부과 우려가 정점을 통과할 경우, 자동차 업종 내에서 아웃퍼폼할 것으로 전망된다. 

5월16일 대신증권은 현대차 팰리세이드 FMC 수혜, 현대기아차 그룹(HMG)의 북미 및 인도 생산 확대, 그리고 SBCM, BMS, SDV 센서, 로보틱스 등 신사업 확장 가능성에 따른 모멘텀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평가했다.  1분기 2025년 에스엘은 매출 1조 2,340억 원, 영업이익 1,193억 원을 기록했다. GM 일부 차종 단산으로 매출은 다소 부진했으나, 원재료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은 당사 추정치에 부합하며 수익성은 견조했다. 지역별 매출은 한국 5,724억 원(전년 대비 +2%), 북미 4,079억 원(-4%), 인도 1,580억 원(-3%), 중국 585억 원(+5%)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관세 우려에 따른 국내 자동차 생산 증가로 한국 매출은 예상보다 양호했다.  에스엘은 2025년 생산망 조정을 통해 미국향 매출 비중을 축소할 계획이며, 2024년 기준 미국향 매출은 약 6,700억 원으로 전체 매출의 13% 수준이다. 북미 중심의 공급망 변경 노력도 지속할 방침이다.  대신증권은 에스엘의 2025~26년 예상 주당순이익(EPS)을 7,698원으로 산출하고, 2013~2017년 이익 안정기 당시 밸류에이션인 목표 PER 6.9배를 적용해 목표주가 54,000원을  유지했다. 2025년 예상 PER은 5.1배, PBR은 0.5배, ROE는 14%로 밸류에이션 부담이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한편, 자동차 업종 전반에 걸친 관세 우려로 개별 종목에 대한 관심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2분기 이후 관세 우려가 완화되면 에스엘은 업종 내 주가 회복과 함께 아웃퍼폼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대신증권은 에스엘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며, 향후 6개월간 시장수익률 대비 10% 이상 주가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2337.2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0.97% 감소. 영업이익은 1193.06억으로 14.05% 감소. 당기순이익은 1040.14억으로 14.27% 감소. 



다올투자증권이 에스엘에 대해 주력 고객사인 현대차 그룹의 글로벌생산 증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목표가는 기존 4만3000원에서 5만원으로 상향,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다올투자증권은 3월24일 리포트를 통해 에스엘은 현대차그룹의 최대 헤드램프 공급업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미국 내에서 현대차 그룹으로 단독 공급이 가능한 생산 거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스엘은 주력 고객사인 현대차와 GM 간 공동 생산 차종 발표에 따른 구조적 수혜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차는 미국 관세 정책 발표를 앞두고 상용 EV(전기차) 트럭 2개 라인업의 CKD(반조립 제품) 수출과 현지 리뱃징을 진행할 예정이고, GM은 미드사이즈 픽업트럭인 캐니언과 콜로라도를 현대 브랜드로 판매하는 방안의 최종 결정 단계"라며 "에스엘의 경우 GM 픽업트럭 생산량 증가에 따른 양적 성장이 담보된다"고 설명했다.다올투자증권은 에스엘이 강력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램프 사업 규모 확장에 따른 영업 확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유 연구원은 "현대차그룹은 메타플랜트를 통해서만 최대 7~8개 수준의 차종 양산이 예상되는데 이를 전량 멕시코 현대모비스 공장에 의존하기는 어렵다"며 "에스엘은 자동차 부품업체 중 이익 체력과 재무적인 체력이 가장 높아 메타플랜트 생산 계획이 거론되며 에스엘도 추가 증설에 나설 수 있다"고 봤다.에스엘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4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6% 하락한 바 있다. 유 연구원은 "에스엘의 회계방식 특성상 연말 인건비와 비용 인식이 집중되고 있음을 착안할 필요가 있다"며 "올해 1분기 들어서며 비용 인식 부담은 완화되고 영업이익은 1000억대로 재진입하며 부품업체 중 최대 모멘텀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마지막으로 유 연구원은 "에스엘은 BMS(배터리관리시스템)와 SBCM(사이드 바디 컨트롤 모듈) 등 전장화 영역으로 부품 공급 라인업을 확대 중"이라며 "23년부터 전장화 사업은 매출 10% 이상 비중에 기여한다"고 했다. 이어 "올해부터는 기아 향 BMS 공급을 시작으로 매출 급증에 따른 주가 재평가가 기대된다"고 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1917.3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0.75% 증가. 영업이익은 3951.64억으로 2.32% 감소. 당기순이익은 577.09억으로  증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4조9732.74억으로 전년대비 2.78% 증가. 영업이익은 3861.86억으로 95.1% 증가. 당기순이익은 3819.64억으로 9.36% 증가. 


자동차 부품 중 전조등(램프) 및 샤시부품 생산업체. 본사를 거점으로 한국, 중국, 북미, 인도 등의 계열회사에서 각종 램프와 샤시, 도어래치, FEM 등을 제조.

국내외의현대차, 기아차, GM, Ford, 길리자동차(Geely) 등의 OEM에 납품. 2009년 현대자동차 에쿠스 리무진에 국내 최초로 LED Head Lamp가 장착 되었으며, AVM(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 HUD(전방표시장치), 차량용 무선충전기, AAF(능동형 공기유입 제어장치), 엠블럼 램프, CPD (전기차 충전 포트 도어 개폐장치)의 개발을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중. 최대주주는 이성엽 외(64.71%), 주요주주는 국민연금공단(8.26%), Stanley Electric Co.Ltd(7.01%).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4조1745.38억으로 전년대비 39.10% 증가. 영업이익은 1979.15억으로 79.04% 증가. 당기순이익은 1659.13억으로 72.44% 증가. 


1998년 6월16일 378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작년 6월17일 4765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올 2월17일 2685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4월25일 3495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5월27일 2990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5일선에 안착 중으로, 지지시엔 저점매수 관점이 유효할듯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3360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350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385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424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