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오팜이 아마존의 연중 최대 할인 행사인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 참가해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다는 소식에 상승세다.
7월16일 오후 2시 12분 현재 네오팜은 전일 대비 1340원(8.54%) 오른 1만7030원에 거래됐다.
이날 네오팜이 아마존의 연중 최대 할인 행사인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 참가해 역대 최대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네오팜은 북미 시장에서의 긍정적인 반응에 힘입어 미국 내 주요 리테일에 입점하며 브랜드 접점을 공격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8일(현지 시각)부터 11일까지 나흘간 진행된 아마존 프라임 데이에서 특히 네오팜의 민감 피부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아토팜(ATOPALM)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아토팜의 베스트셀러 ‘MLE 크림’은 베이비 로션(Baby Lotions) 카테고리에서 4위를 달성하며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그 결과 올해 프라임 데이 기간 MLE 크림 매출은 전년 대비 1595%가량 증가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최근 MLE 크림을 ‘민감한 아기 피부를 위한 크림’이라 호평한 구독자 80만 명의 유명 틱톡커 영상이 조회수 250만 이상을 기록하며 입소문을 타기도 했다. 뛰어난 제품력에 인플루언서 리뷰 콘텐츠가 더해지면서 프라임 데이 기간 MLE 크림의 하루평균 판매량은 지난달 대비 약 5775% 증가했고, 하루평균 매출도 지난달 대비 약 4952% 성장했다.
아마존 매출 확대에 따른 실적 증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더마코스메틱 전문기업 네오팜 주가가 상승랠리를 하고 있다.
7월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20분 현재 3.44% 올라 1만 5330원에 거래되고 있다.
네오팜이 최근 대표 브랜드 ‘리얼베리어’를 앞세워 일본 오프라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면서 실적개선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 올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온라인 중심의 판매 채널을 넘어 현지 드럭스토어·뷰티 편집숍 유통망 확대에 나서며 글로벌 소비자 접점을 넓힌다는 전략이다.
업계에 따르면, 네오팜은 최근 일본 내 대표 헬스&뷰티(H&B) 스토어 체인인 플라자(PLAZA), 로프트(LOFT) 등과 추가 입점 계약을 체결하고, 리얼베리어의 주력 제품군을 현지 주요 매장에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일본 내 오프라인 유통 채널에서 리얼베리어의 접근성과 브랜드 인지도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리얼베리어는 네오팜이 개발한 피부 장벽 강화 전문 더마 브랜드로, 피부 민감층을 타깃으로 한 고기능성 라인을 중심으로 글로벌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일본에서는 ‘멀티세라마이드’를 기반으로 한 수분장벽 라인과 시카 장벽 라인이 SNS를 중심으로 입소문을 타며 주목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화장품 사용층의 성숙도와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시장이지만, 동시에 더마코스메틱 수요가 빠르게 성장하는 중”이라며 “이번 오프라인 채널 강화는 브랜드의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현지 소비자와의 신뢰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최근 몇 년간 일본 화장품 시장은 K-뷰티 열풍과 함께 기능성 + 안전성을 중시하는 더마 브랜드의 선호도가 급상승했다. 이에 따라 네오팜은 자사 제품의 저자극 테스트, 장벽 기능 임상, 고함량 세라마이드 배합 기술력 등을 전면에 내세우며 브랜드 포지셔닝을 차별화하고 있다.
이번 리얼베리어의 일본 확장 전략은 현지화와 전문성의 이중 포인트를 지향한다. 일본 소비자 취향을 고려해 패키지 디자인과 성분 레이블을 로컬 기준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했고, 일부 품목은 현지 전용 상품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네오팜은 하반기 중 일본 내 피부과·약국 채널과의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
증권가도 네오팜의 글로벌 전략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증권 전문가는 “네오팜은 국내 시장 안정성과 더불어 일본·미국·동남아 등 주요 수출국에서의 성과가 가시화되는 시점”이라며 “브랜드 집중 전략과 고마진 제품군 확대로 하반기 실적 개선 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한편 네오팜은 리얼베리어 외에도 아토팜, 제로이드, 더마비 등 기능성 라인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미국 아마존·큐텐·라쿠텐 등 주요 플랫폼에서 리뷰 기반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중국·홍콩 시장 회복에 맞춰 뷰티 박람회 참가 및 온오프라인 연계 프로모션도 예정돼 있다.
뷰티&헬스케어 기업 네오팜은 자사의 피부 보호 기능성 원료인 디펜사마이드(Defensamide)를 중국 화장품 저위험군 '경외 신원료'로 지난 6월13일 공식 등록했다고 밝혔다. 중국에서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기 위한 필수 절차를 마쳐 네오팜 제품의 중국 시장 입지가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중국 내에서 처음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천연 또는 인공 원료(이하 신원료)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감독하에 매우 까다롭게 등록 절차를 밟아야 한다. 특히 해외 생산 원료의 경우 △물리·화학적 특성 △제조 공정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피부 자극 및 알레르기 반응 시험 등 광범위한 과학적 데이터를 제출하고 철저한 검증을 받아야만 승인된다.
절차가 까다롭다 보니 제도 시행 이후 현재까지 중국 화장품 신원료 등록에 성공한 국내 기업 원료는 단 4건에 불과했다. 그중 1건은 최근 자진 철회되어, 네오팜의 디펜사마이드는 국내 기업이 개발한 신원료 가운데 네 번째로 등록된 사례가 됐다.
NMPA의 엄격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디펜사마이드의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는 연구를 철저히 진행한 네오팜은 중국 현지 지정 기관을 통해 유효성 및 안전성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승인을 획득했다.
네오팜이 독자 개발한 디펜사마이드는 피부 본연의 항균력과 면역력을 강화하는 원료다. 피부 장벽이 손상돼 건조하고 가려운 피부는 천연 항균 물질인 항균펩타이드(AMPs)가 감소된 상태인데, 항균펩타이드의 생성을 촉진시켜 약해진 피부 방어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 디펜사마이드다.
디펜사마이드는 네오팜의 메디컬 스킨케어 브랜드 '제로이드'의 화장품 및 의료기기(MD)에 핵심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디펜사마이드의 효과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화장품 원료 전시회인 ‘2012 인-코스메틱스 글로벌(In-cosmetics global)’에서 ‘이노베이션 존 베스트 인그리디언트 어워드(Innovation Zone Best Ingredient award)’ 은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네오팜은 이번 신원료 등록을 통해 중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기능성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며 현지 관계자들이 디펜사마이드의 효능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이에 피부장벽 기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차세대 스킨케어 성분이 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번 네오팜의 성과는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네오팜 연구는 보건복지부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돼 정부의 지원 정책 성공 사례로 남았다. 디펜사마이드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돼 중국 및 세계 시장에 진출하면, K뷰티 수출 증대와 지속적인 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네오팜 관계자는 "NMPA 등록은 네오팜의 독자적인 피부 생리활성 기술이 국제적으로 신뢰성과 혁신성을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중국뿐 아니라 글로벌 화장품 원료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316.09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2.03% 증가. 영업이익은 77.80억으로 14.55% 증가. 당기순이익은 71.37억으로 16.77% 증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1190.14억으로 전년대비 22.56% 증가. 영업이익은 246.53억으로 2.58% 감소. 당기순이익은 230.65억으로 0.64% 감소.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1.05억으로 전년대비 14.20% 증가. 영업이익은 253.07억으로 18.04% 증가. 당기순이익은 232.13억으로 36.33% 증가.
화장품 개발/제조/판매 사업을 영위중인 아토피보습제 전문업체. 주력제품은 아토팜(민감피부 전문 스킨케어), 리얼베리어(피부장벽 전문 더모 코스메틱), 더마비(생활보습 바디전문), 티엘스(클린뷰티 컨셉), 제로이드(메디컬 스킨케어) 등. 유산균 등 건강기능식품(에이토솔루션, 더불가리쿠스)도 판매중. 최대주주는 잇츠한불 외(38.33%).
2022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850.33억으로 전년대비 3.30% 감소. 영업이익은 214.39억으로 4.42% 감소. 당기순이익은 170.27억으로 3.87% 감소.
2008년 10월23일 1119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18년 4월11일 32416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2022년 10월12일 8194원에서 마무리한 이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작년 6월14일 17565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9월9일 10319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11월4일 14185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올 2월3일 10700원에서 저점믈 찍은 이후부턴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5일선에 안착 중으로, 이제부턴 저점을 줄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1796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187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206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2270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