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토론

목록목록
코세스(089890)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이며 이후 전망 및 대응전략.
  • 25/07/23 13:33
  • 조회 261
개미신사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반도체 산업의 굵직한 한 축을 담당해 온 코세스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7월1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3분 현재 7.04% 올라 8970원에 거래되고 있다.

2차전지 제조장비 분야로 사업을 확장 새로운 도약 준비가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도체 후공정 및 자동화 장비, 레이저 응용장비 분야에서 쌓아온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먹거리 확보에 나선 것이다.

코세스는 특히 Solderball Attach System과 PKG Stack System 등 고도의 정밀성을 요구하는 반도체 장비를 생산하며 국내외 반도체 제조사들로부터 깊은 신뢰를 얻어왔다.

현재까지 43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이 중 36건을 등록하는 등 끊임없는 연구 개발 투자를 통해 기술 혁신을 선도해왔다. 이러한 기술력은 단순히 반도체 분야에 머무르지 않고, 빠르게 성장하는 2차전지 시장으로의 성공적인 진출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코세스의 2차전지 제조장비 시장 진출은 국내 제조업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중요한 시도로 평가받는다.

반도체 장비 제작에서 축적된 정교한 제어 기술과 자동화 노하우는 2차전지 생산 공정의 효율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사업 확장을 넘어, 국가 핵심 산업인 반도체와 2차전지 양쪽에서 기술 강국 대한민국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세스가 그려나갈 미래가 주목되는 이유다.



4월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박명순 대표이사의 코세스 주식 2만4095주가  늘었다고 공시했다.앞서 지난 2025년 2월 28일 발표한 직전보고서에서는  주식수 833만3395주,  주식수 비율 50.24% 였다.이에 따라 박명순 대표이사의 주식수는 835만7490주,  주식수 비율은 50.25%로 0.01%p 변동했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88.20억으로 전년동기대비 11.02% 증가. 영업이익은 39.47억으로 5.29억 적자에서 흑자전환. 당기순이익은 32.61억으로 78.68% 증가. 



반도체 후공정 장비 전문 기업 코세스 주가가 내달리고 있다. 3월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11분 현재 6.02% 올라 8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코세스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반도체 기업에 솔더볼 어태치 등 핵심 장비를 공급하며 시장을 이끌면서 주가에 훈풍을 불어 넣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레이저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세스의 주력 제품인 솔더볼 어태치 장비는 D램, 낸드, 시스템반도체 등 모든 반도체 후공정에 적용되는 필수 장비이다.

코세스는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품질의 장비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고객사와의 신뢰를 구축하고 있다.또한, 레이저 기술을 활용한 커팅 장비를 개발하여 에어팟 생산 공장에 납품하는 등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레이저 커팅 장비는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레이저 기술을 기반으로 신규 시장을 적극로 개척하고 있다.

코세스는 반도체 후공정 장비, 레이저 응용 장비, OLED 제조 공정 장비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반도체 핵심 공정에 필수적인 솔더볼 어태치 시스템(Solar Ball Attach System) 장비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한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국내 반도체 대기업뿐만 아니라 EDO, Partron 등 글로벌 반도체 패키징 전문 기업까지 폭넓게 확보하고 있다. 이는 코세스의 기술력과 품질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 외에도 레이저 응용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산업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OLED 제조 공정 장비는 물론, 정밀한 레이저 커팅 기술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코세스의 기술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

매출 구성은 장비 등 제품 판매가 99.98%를 차지하며, 기타 매출은 0.02%에 불과하다. 



반도체 장비 업체 코세스 최대주주가 지난해 12월부터 자사주를 사들이고 있다. 

박명순 대표이사가 2월19일 제출한 임원주요주주 지분 소유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박 대표는 지난 13일부터 18일(결제일 기준)까지 2만8778주를 장내 매입했다. 2억1500만원 상당으로 전체 발행 주식의 0.17%에 해당한다. 

최대주주인 박 대표는 지난해 12월부터 자사주 매입에 들어간 모습이다.  지난해 12월13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1만4000주를 1억원을 들여 사들인 것을 시작으로 12월20일 하룻동안 6억원을 들여 8만8255주를 샀다. 

2018년 6월 무상신주를 받아 지분율이 낮아진 이후 6년 만에 지분율에 변화가 생긴 것이었다. 

박 대표는 1월을 건너뛰고 2월 들어 다시 자사주 매입에 나섰다. 2월 상순 1억5200만원을 들여 2만2581주를 샀고, 이날 보고한 대로 2월 중순 2억1500만원을 자사주 매입에 썼다. 

작년 12월 이후 11억원 가까운 개인자금을 자사주 매입에 썼다. 49%대 지분율은 이제 50.24%로 50%를 넘겼다. 

코세스는 반도체 장비 전문 업체로서 반도체 후공정 장비와 자동화 장비, 레이저 응용장비 등을 공급하고 있다. 2차전지 장비도 한다. 

지난해 3분기까지 매출 489억원, 영업손실 29억원을 냈다. 전년 같은 기간 매출 558억원, 영업이익 87억원보다 부진한 실적을 냈다. 

한편 코세스 주가는 19일 오전 10시27분 현재 20% 가까운 폭등세다. 미국 반도체 업체 인텔의 주가 폭등 속에 한미반도체와 주성엔지니어링, 유진테크, 테크윙 등 반도체 장비주들 주가가 급등하는 가운데 코세스도 훈풍을 타고 있다. 



2월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박명순 대표이사의 코세스 주식 2만8778주가  늘었다고 공시했다.

앞서 지난 2025년 2월 12일 발표한 직전보고서에서는  주식수 830만4617주,  주식수 비율 50.07% 였다. 이에 따라 박명순 대표이사의 주식수는 833만3395주,  주식수 비율은 50.24%로 0.17%p 변동했다.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691.84억으로 전년대비 27.66% 감소. 영업이익은 56.09억 적자로 80.17억에서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1.97억 적자로 69.64억에서 적자전환. 



2023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956.51억으로 전년대비 31.15% 증가. 영업이익은 80.17억으로 6.20% 감소. 당기순이익은 69.85억으로 11.37% 감소. 


반도체 장비 제조 업체. 반도체 후공정장비인 Solder Ball Attach System장비, Laser응용장비, Conversion Kit 등을 제조. 주요 매출처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있음. 최대주주는 박명순 외(49.52%). 상호변경 : 고려반도체 -> 코세스(18년4월).


2022년 개별기준 매출액은 729.31억으로 전년대비 5.51% 감소. 영업이익은 85.47억으로 38.28% 감소. 당기순이익은 78.81억으로 29.18% 감소. 


2008년 11월25일 305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작년 1월31일 2195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조정에 들어간 모습에서 12월9일 5770원에서 마무리한 이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올 2월19일 960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4월9일 6000원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5월12일 794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23일 658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모습에서 7월16일 9180원에서 고점을 찍고 밀렸으나 22일 8120원에서 저점을 찍은 후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8030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863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95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104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