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스틸이 강세다. 미국과 일본이 알래스카에서 액화천연가스(LNG) 합작 투자를 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한국도 미국의 LNG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7월23일 오후 2시28분 기준 하이스틸은 전일 대비 21.35% 상승한 5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전날 일본과 무역협상 타결 소식을 전하며 일본이 알래스카에서 미국과 LNG 합작 투자를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은 약 1300km 길이에 달하는 가스관을 통해 알래스카 최북단에서 생산한 천연가스를 남부로 보낸 뒤 이를 액화해 아시아 등지로 수출한다는 내용이다. 앞서 미국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는 일본과 함께 한국 참여 가능성도 제기됐다.
한편 강관제조 기업 하이스틸은 미국 상무부(DOC)로부터 강벽사각파이프(구조관)에 대한 '덤핑제로' 결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반덤핑 혐의 없음으로 미국 관세 리스크를 비껴간 하이스틸은 영하 196도의 극저온 환경을 견디도록 개발한 고망간 강관 기술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까지 노려볼 수 있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강관제조 기업 하이스틸이 미국 상무부(DOC)로부터 강벽사각파이프(구조관)에 대한 '덤핑제로' 결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덤핑 혐의 없음으로 미국 관세 리스크를 비껴간 하이스틸은 영하 196도의 극저온 환경을 견디도록 개발한 고망간 강관 기술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까지 노려볼 수 있게 됐다.
또 내지진용 대형각관을 일본 사업연속성계획(BCP) 인증을 통과해 공급을 시작한 하이스틸은 내년부터 대량 공급도 기대하고 있다.
7월16일 하이스틸 관계자는 “미국 상무부가 2022년 9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의 검토 기간 하이스틸의 제품이 정상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사실이 맞다”고 말했다.
이로써 미국 사업의 큰 위험이 해소되면서, 향후 미국의 알래스카 LNG 개발 사업이 추진될 경우 강관 사업의 진출도 기대해볼 수 있게 됐다.
하이스틸은 세경관(벽 두께가 얇은 강관), 소경관(지름 50mm 이하 강관)부터 원유와 가스 수송이 가능한 60인치 대구경 후육강관(벽 두께가 두꺼운 강관)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한다. 또 내진용 대형 각형강관, 극저온용 고망간 강관 등 고부가가치 강관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극저온용 고망간 아크용접(SAW)강관 제조기술 특허를 취득하면서 철강업계부터 조선, 해운, 에너지 업계의 주목을 받게 됐다. 2021년 2월에는 ‘조선해양플랜트용 극저온용 고망간 서브머지드아크용접(SAW)강관의 제조’에 관한 특허를 취득했다.
극저온용 고망간강은 영하 196도의 극저온 환경을 견디도록 개발된 강재다. 기존 탄소강에 망간을 20~30% 첨가해 내마모성, 고성형성, 방진성, 극저온성 등을 갖도록 만들었다. 포스코로부터 고망간 재료를 수급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극저온용 강재는 LNG 인프라와 해상풍력, 수소 저장 관련 시장이 확대되면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전에는 니켈합금강과 스테인리스강, 9%니켈강, 알루미늄합금 등이 극저온용 강재로 쓰였다. 하지만 이들 제품은 원소재의 공급량이 적어 원가 수준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포스코가 2013년 세계 최초로 LNG 탱크에 적용하기 위한 극저온용 고망간강 후판 제품을 선보였다. 고망간강 소재는 고강도와 극저온성을 모두 만족하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용접과 냉간가공이 어려워 높은 제조기술력이 요구됐다.
하이스틸 관계자는 “자사 극저온용 고망간 강관의 경우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도 쓰일수 있다”며 “알래스카에서 수천 킬로미터 파이프를 끌어내야하는데,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하이스틸은 내지진용 대형각관으로 내년부터 일본 대량 공급도 기대하고 있다. 내진 성능에 민감한 일본 건설업계의 경우 일반적으로 쓰이는 H빔 시공이 아닌, 내지진용 대형각관이 건축에 쓰인다. 일본 수출을 위해선 관련 인증이 필수라고 한다.
하이스틸의 대형각관은 일본의 사업연속성계획(BCP) 인증을 통과해 현재 공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BCP인증은 재해나 위기 상황에서도 건축물이나 시설이 기능을 유지하거나 빠르게 복구될 수 있도록 사전에 계획을 수립한 것을 평가·인정하는 제도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05.23억으로 전년동기대비 0.45% 증가. 영업이익은 4.21억으로 279.28% 증가. 당기순이익은 5.86억으로 138.21% 증가.
작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462.64억으로 전년대비 4.05% 감소. 영업이익은 9.12억으로 73.07% 감소. 당기순이익은 11.05억 적자로 13.07억에서 적자전환.
자동차, 선박기계, 건설, 배관, 보일러 및 구조물 등에 사용되는 강관을 주요제품으로 생산하는 강관 전문 제조, 판매 업체. 세경관, 소경관부터 원유, 가스수송이 가능한 60인치 대구경 후육강관까지 다양한 제품을 생산 중. 배관용, 플랜트용 강관을 열처리하는 사업 및 주유소 임대업을 영위하는 하이파워 등을 자회사로 보유. 최대주주는 엄신영 외(53.47%).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66.56억으로 전년대비 18.89% 감소. 영업이익은 33.86억으로 79.93% 감소. 당기순이익은 13.07억으로 88.65% 감소.
2003년 3월17일 442원에서 바닥을 찍은 후 2022년 4월28일 7900원에서 최고가를 찍고 밀렸으나 작년 12월9일 2500우너에서 저점을 찍은 모습입니다. 이후 크고 작은 등락을 보이는 가운데 점차 저점과 고점을 높혀오는 중으로, 이제부턴 밀릴때마다 물량 모아둘 기회로 보여집니다.
손절점은 5665원으로 보시고 최대한 저점을 노리시면 되겠습니다. 5900원 전후면 무난해 보이며 분할매수도 고려해 볼수 있겠습니다.목표가는 1차로 6500원 부근에서 한번 차익실현을 고려해 보시고 이후 눌릴시 지지되는 저점에서 재공략 하시면 되겠습니다. 2차는 7150원 이상을 기대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