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목록목록
삼성에피스 "美 오리지널 약값 낮추면 시밀러 시장도 축소”
  • 25/07/22 21:41
  • 조회 1397
1205OH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12176


■삼성에피스 3분기 美시밀러 시장 보고서
약가 인하 시 시밀러 개발·사용 유인 떨어져
단기 인하 가능하나 결국 전체 시장 경쟁↓
"안정적인 공급 능력···시밀러 경쟁 요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약가 인하 정책이 궁극적으로 바이오시밀러 시장도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그동안 바이오시밀러 분야에는 오히려 호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인 상황이어서 눈길을 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2일 '2025년 3분기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통해 “미국 보건복지부가 하반기 중 ‘최혜국 대우 약가 정책’에 대한 법제화 논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오리지널 의약품의 약값이 인위적으로 낮아질 경우 바이오시밀러 시장도 크게 위축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최혜국 약가 정책은 미국 환자에게 적용될 의약품 가격을 미국의 1인당 GDP의 60% 이상인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가격으로 하는 정책이다. 보고서는 “바이오시밀러는 개발비가 1억~3억 달러 수준으로 고정비 성격이 강하다”며 "오리지널 의약품 가격이 낮아지면 바이오시밀러의 가격 차별성이 낮아져 신규 진입이 어려워지고, 보험사와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도 바이오시밀러를 선호 약제로 지정할 이유가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캐릭터
투자의결실25/07/22 21:47 8
다만 미국 내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 식품의약국(FDA)은 올 들어 7월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바이오시밀러 제품 75개를 승인했고, 이 중 53개 제품이 상업적으로 출시됐다. 보고서 발간을 시작한 2023년 2분기 당시 승인 제품은 40개, 출시 제품은 28개에 불과했지만 불과 2년여 만에 승인 제품이 35개, 출시 제품이 25개 각각 늘어났다.
캐릭터
투자의결실25/07/22 21:54 9
약가인하 방법은 두가지가 있어요. 하나는 바이오시밀러 장려 두번째는 오리지널 약가 인하. 위 내용은 오리지널 약가 인하시 발생하는 상황일부를 가져온 설명입니다. 오리지널 약가인하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요. 그래서 바이오시밀러가 제품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캐릭터
꿈성취25/07/22 22:43 7
바이오시밀러는 약가 인하 대상이 아닌 장려 대상이고 셀트리온은 원가 경쟁력과 생산공급 안정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오히러 차별화 요소임 그래서 결국 2~3개사만 살아 남을 것으로 봄 위탁 생산하는 삼바가 경쟁력 영향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