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목록목록
opportunity님 같은 주린이를 위한 양도세 강좌
  • 25/07/27 01:23
  • 조회 2759
rhwlaud 자기 소개가 없습니다.


이걸 쓸까말까 고민하다가 opportunity님은 양도세 낼 일이 없겠지만 그래도 다른 분들은 주식투자하면 알아야 할거라 생각해서 끄적입니다.제 마지막 글일 듯 하네요.무식한데 용감한 사람이 설치는 걸 안좋아해서 ㅋㅋㅋ

양도세 계산법에는 크게 3가지가 있어요
선입선출,후입선출,이동평균법인데요 어느걸 적용하냐에 따라 양도차익이 크게 다릅니다.물론 한방에 다팔면 차이가 없겠지만요.

우선 선입선출 말그대로 제일 먼저 들어온게 제일 먼저 나간다는 말이구오 후입선출은 맨마지막껄 먼저 뺀다는 말입니다.이동평균법이 우리가 흔히 쓰는
평단 얼마로 계산하는 법입니다.

그럼 실례를 들어보죠.
우선 제가 A라는 주식을 10년 전에 1만원에 100주,5년전에 51만원에 100주,1년전에 20만원에 100주 샀다고 생각해 보죠.오늘 20만원에 100주 매도했습니다

선입선출법 (20-1)x100이 제 양도차익이겠죠.
그럼 1900만원이네요.

후입선출법 (20-20)x100이 제 양도 차익입니다.
그럼 0원이구요.

이동평균법 (20-24(평단))x100이 제 양도 차익입니다.그럼 -400만원이네요.

근데 국세청에서는 국내주식에 대해 선입선출을 권고하죠.(판례상 후입선출로 이긴 경우가 있긴 한데 세무사분들께 물어보셔도 정석은 선입선출입니다)그럼 1900만원에 대한 양도세를 내셔야 됩니다.이동평균법으론 손해인데...

번외로 이동평균법은 해외주식의 경우에 여러 증권사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증권사마다 달라요)

이 이야기를 하는데 양도세는 이득이 있어야 내는 세금이다? ㅋㅋㅋ 기가차네요.전 삼겹살을 어떻게 먹지 라고 이야기하는데 삼겹살은 돼지고기야 라고 이야기 하는거 같지 않아요?전 이미 삼겹살이 돼지고기인거 알고 있어요 근데 갑자기 돼지고기 타령을 하면 우째야 할까요?ㅋㅋㅋ 제가 내린 결론은 무식한 애랑 말을 말자입니다 ㅎㅎ

Ps> opportunity님처럼 무지한 분들을 위해 국세청에서 매년 주식과 세금이란 책자를 발간하고 있습니다.한번 쯤 보세요 위에 자료도 24년판에서 퍼온 겁니다.

opportunity님
남들보고 공부하라고 하지마시고 본인이나 되돌아 보시길...진심 권해 드립니다
캐릭터
rhwlaud25/07/27 01:37 19
이 글을 마지막으로 씽크풀 안올 생각이에요 댓글 다셔도 답장 못해드랴요.모두 성투 하시길
답글빙고셀25/07/27 11:04 8좋아요신고
그동안 좋은 글 많이 올려주셨는데, 안 오신다니 아쉽습니다. 그래도 중요한 시점엔 글 올려주시길 기대합니다^^
답글첫주식셀25/07/27 12:03 7좋아요신고
또 한분의 재능 있으신분이 가시는군요. 그동안 좋은글 감사했습니다. 좋은날오면 다시 들러주세요.
캐릭터
한판붙자25/07/27 02:25 14
혹시라도 궁금하신 분들 계실까봐 이동평균법의 단가 산정방법에 대해서 첨언합니다. 회계학에서는 상품의 재고의 단가를 이동평균법으로 구할 때에는 판매시마다 단가를 산정합니다. 따라서 입고 후에 판매가 이루어지면 이때 단가를 산정합니다. 그리고 이후에 매입하고 판매가 이루어지면 단가를 또 산정합니다. 계속해서 상품의 평균단가가 변합니다. 그래서 이동평균법( Moving Average)입니다. 위에서 예로 든 경우, 주식의 취득은 매입으로 보고 매도는 판매로 봅니다. 따라서 매도한 날 (오늘) 주식의 가중평균단가(취득원가)를 산정합니다. 주당 취득원가 = (10,000원*100주 + 510,000원*100주 + 200,000원*100) / (100주 + 100주 + 100주) = 240,000원입니다. 이러한 방법은 상품의 거래량이 많고 가격이 계속 변동하는 경우에 취득원가를 추정해서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실제 거래에서는 매입과 매도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매도시마다 단가를 추정해야 하므로 엄청 복잡합니다. 위의 예는 단순해서 총평균법의 방법과 동일해 보입니다. 주식 매도후에 매입과 매도가 한 번 더 이루어지는 사례이면 총평균법괴 이동평균법의 계산방법이 달라지고 평균단가가 변하는 걸 알 수가 있습니다. 복잡해서 생략하겠습니다. 참고로 선입선출법( First in First out)은 먼저 들어온 게 먼저나간다는 가정하에 단가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실제 물량의 흐름에 맞는 방법이지만 물가나 주가가 상승시 과거의 취득원가가 현행의 가격과 대응해서 수익이 많이 잡히므로 세금 부담액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수익과 비용의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잠이 안 와서 책 좀 보다가 글을 남깁니다.
답글heoniss9125/07/27 08:07 13좋아요신고
자주 매매를 한경우 엄청복잡하여 세무사도 잘 안해줍니다 민주당 정책위원장은 주식을 해봤어야 힘든걸 알지
캐릭터
되돌릴수없다25/07/27 09:11 11
양도세는 세금이 문제가 아닌것을 자기는 해당 사항없다고 무지한 주주들이 더 문제. 주주라면 양도세 폐지나 현행유지 운동을 해야함
캐릭터
날개님25/07/27 15:02 6
안타 깝네요 ,그냥 무지한 국민 지식전달 하여다고 생각 하시고 계속 활동좀 해주세요